Abstract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의 전문성은 미시적 사회복지실천에 중심을 두고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사회복지법제’ 교과목이 ‘사회복지법제와 실천’으로 변경되면서 거시적 사회복지실천으로서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이 사회복지의 전문성 중 하나가 되는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일부 진행된 선행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수행할 수 없는 또는 수행할 필요가 없는 법적 실천까지를 제시하거나 매우 단편적으로 법적 실천의 방향성만 제시하고 있는 수준이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회복지 법적 실천의 내용을 구체화하여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법적 실천을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복지사는 법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사회복지 전문가로서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시킬 수 있는 수준에서만 법을 활용하면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활용할 수 있는 법적 실천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권리보장을 위한 법적 실천이다. 클라이언트의 사회복지에 관한 권리의 내용을 이해하고 클라이언트 스스로가 이를 주장할 수 있도록 하며, 만일 권리가 침해되었을 경우 이를 되돌릴 수 있도록 절차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책임과 의무를 위한 법적 실천이다. 사회복지사는 법에 따른 역할과 기능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 임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며, 책임과 의무에 있어서 해야 할 것과 금지할 것을 구분하여 준수해야 할 것이다. 특히 벌칙 대상이 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셋째, 사회복지제도 변화를 위한 법적 실천이다. 사회복지가 공식적이고 제도적으로 작동되도록 관련 법 제정을 위한 역할 수행과 소송을 통해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목적으로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는 법을 통해 실천되고 법과 함께 실천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은 사회복지의 거시적 사회복지실천으로서 전문적으로 연구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