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적과 도덕과 교육의 본질적 특성에 근거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도덕교육에서의 정서교육 관련 연구 및 실제 도덕과 교육에서의 정서교육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도덕교육의 목적은 도덕적 인간의 양성으로, 여기에서 도덕적 인간이란 상식 수준의 도덕을 넘어 기준으로서의 도덕을 추구하는 인간을 가리킨다. 그러나 최근 도덕교육에서의 정서교육 관련 연구나 실제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기본으로 예시되어 있는 정서교육 방법은 공히 가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정서와 관련된 과학적 증거를 확인하거나 일상생활을 원만하게 유지하기 위한 조건으로서의 정서 관련 태도 및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간이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데에는 일상적으로 느끼는 감정이나 정서를 공감하는 능력 이상으로, 보다 높은 차원의 정서를 경험함으로써 구도(九道)의 길로 나아가는 과정이 반드시 요청된다. 이를 위해서는 도덕교육에서의 정서교육 관련 연구와 실제 모두에서 상식 수준의 도덕을 익히는 일상적 도덕교육에만 관심을 집중할 것이 아니라 기준으로서의 도덕을 추구하는 도덕과 교육 고유의 역할 또한 균형있게 존중할 필요가 있다.In this study, we explore the direction of emo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ultimate goal of moral education itself, no matter how much it can be realized in real life. The recent trend in emo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is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o focus on solving moral problems on a visible level by studying emotions from a scientific perspective or by developing ability to control emotions and empathize. This trend stems from the fact that moral or ideal life as an absolute standard cannot be fully realized in real life and in that sense many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making a smooth living in the real life right now than in moving to the ideal life. But the ultimate goal of moral education is not to train common sense human beings, but to nurture moral ones. So, emo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should try to cultivate a human approaching morality as a standard by pursuing a higher level of aesthetic emotions as well as having a general level of abilities to control ordinary feelings and empathiz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