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논문은 우계ㆍ율곡의 사칠논변을 윤리이론의 관점에서 이해해보려는 시론이다. 우ㆍ율 사칠논변은 우계의 절충적(가치론 강조의 존재론) 고찰방식과 율곡의 존재론적 고찰방식, 그리고 우계의 절충적(동기론 강조의 결과론) 관점과 율곡의 결과론적 관점이 대립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우ㆍ율 사칠논변은 인심ㆍ도심의 문제가 중심이 되었는데, 인심ㆍ도심과 사단ㆍ칠정을 각각 리ㆍ기의 발용으로 대거(對擧)하여 보는 관점의 정당성 여부를 심성론과 리기론에 걸쳐 논의한 것이 이 논변의 주된 내용이다. 양자의 사단칠정에 대한 견해는 그들의 리기론에서 단적으로 나타난다. 우계의 리기일발(理氣一發)은 리기와 성정(性情)에 대한 절충적인 관점을 보여준다. 그의 리기일발은 리기의 존재양상을 존재론적으로 고찰하여 리기의 동시적 존재와 작용을 인정한다. 하지만 리기가 성정(性情)으로 발용할 때는 주리(主理)ㆍ주기(主氣)의 구분을 인정하여, 리기에서 비롯된 성정이 선 또는 악으로 흐를 수 있다는 가치론적 고찰의 모습도 찾아볼 수 있다. 우계의 리기일발에는 존재론적 고찰보다 가치론적 고찰이 보다 강조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우계의 사칠논변에 관한 주장은 당연히 동기론적 관점과 결과론적 관점이 절충된 형태로 나타난다. 이에 반해 율곡의 기발리승일도(氣發理乘一途)는 존재론적인 고찰을 통한 결과론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그가 리ㆍ기, 사단ㆍ칠정 등에 가치적인 분별을 전제하지 않고, 오직 기의 현상적인 발용으로 파악하기 때문이며, 리ㆍ기와 사단ㆍ칠정을 존재론적으로 고찰하는 그의 주장은 결과론적 관점에 해당된다고 하겠다.This thesis is a try to understand the Ugye & Yulgok s Four-Seven Debate from the ethical standpoint. Ugye & Yulgok s Four-Seven Debate might be the result of confrontation between Ugye s compromising way (ontology emphasizing axiology) of consideration and Yulgok s way of ontological consideration, and between Ugye compromising (consequentism emphasizing motivism) standpoint and Yulgok s consequentic standpoint. There are issues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at the center of Ugye & Yulgok s Four-Seven Debate. It is the main content of the debate to discuss the legitimacy or not of the standpoint that regards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and Four Bases(四端) and Seven Feelings(七情) as manifestation of Li and Qi(理氣) respectively over the theory of Mind and theory of Cosmos. Both of their standpoint on Four Bases(四端) and Seven Feelings(七情) appears in their theory of Cosmos directly. Ugye s Likiilbal(理氣一發) shows his compromising standpoint on Liqi(理氣) and human nature and emotion(性情). His Likiilbal(理氣一發) recognizes the simultaneous existence and operation of Liqi(理氣) by considering its aspect of existence ontologically. However, when the Liqi(理氣) appears as human nature and emotion(性情), the distinction between Churi(主理) and Chuki(主氣) is recognized, and the axiological consideration is also found out that the human nature and emotion(性情), which results from Liqi(理氣), could lead to the good or the evil. In Ugye s Likiilbal(理氣一發), the axiological consideration is more emphasized than the ontological consideration. In Ugye s argument on Four-Seven Debate, no wonder the motivic standpoint and consequentic standpoint appear in the compromised form. On the contrary, Yulgok s Giballiseungildo(氣發理乘一途) might be said a consequentic standpoint through ontological consideration. It is because he regards the Liqi(理氣), Four bases(四端) and Seven Feelings(七情) only as a phenomenological manifestation, not setting forth a premise of axiological distinction. His argument and ont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Liqi(理氣), Four bases(四端) and Seven Feelings(七情) might come under a consequentic standpoi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