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퇴사경험이 있으면서 재취업에 실패한 대졸 청년들의 재취업 실패과정의 구조를 분석하여, 청년의 재취업 실패과정에 관해 설명, 해석, 예측 및 적용이 가능한 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때, 이론적·개념적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모집된 11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연구 자료들은 근거이론 분석방법으로 이론적 표본 추출과정을 거쳐 분석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함께 총 3단계의 분석과정을 통해 점차 추상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 과정에서 최종 150개의 개념, 38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축코딩의 결과, 퇴사·재취업 청년의 재취업 실패과정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고 과정분석을 통해 퇴사·재취업 청년의 재취업 실패과정 단계를 제시하였다. 분석의 마지막 단계인 선택코딩 과정에서는,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재취업 실패 청년들의 자기직면 : 직업선택 시 기준의 극단성’의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후 이야기 윤곽을 통해서 선택코딩의 결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를 통해 도출된 퇴사경험이 있는 대졸 청년의 재취업 실패과정 모형으로 ‘재취업 실패 청년들의 자기직면 : 직업 선택 시 기준의 극단성’으로 이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 결과를 바탕으로 퇴사경험이 있는 대졸 청년의 반복적인 재취업 실패과정을 해석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교육학적인 관점으로 실제적인 근거를 마련하고, 배경이 되는 맥락적 요소들이 퇴사·재취업 청년들의 재취업 실패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청년실업이라는 문제에 비해 소외되었던 재취업 실패 과정에 있는 퇴사·재취업 청년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경험과 사례를 근거로 반복적인 재취업 실패과정의 이론이 도출되었다.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failure in reemployment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with experience of leaving a company, and based on the experience, suggested an applicable substance theory possible to explain, interpret, and predict the process of failure.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a total of 150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deducted in the process of open coding. Second, a paradigm model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with experience of leaving a company as a result of axial coding and the stage of failure in reemployment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were suggested. A central phenomenon of the paradigm model turned out to be repetitive failures in reemployment. Especially, negative awareness on experience in leaving a company and failure in reemployment due to a lack of preparation led to learned lethargy, and under such situations and context conditions such as the severance of human relationships, financial difficulties and low self-esteem were deducted. In this process, facing reality, grasping the situation, and exploring the necessary and satisfying factors for reemployment played as an interventional condition, and a central phenomenon called repetitive failures in reemployment was deducted. Interaction strategies appeared as finding incomplete occupational values, exploring one’s own competitiveness in the labor market and others; and such behaviors led to extreme career choice standards, inflexible career choice values, etc.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