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5년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입력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발생원인을 생태학적 접근으로 분석하여 원인의 다층성과 그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입력되어 있는 2015년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례 424건(전수)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두 가지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424건의 사례 문서(각 4종)에서 아동학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보육교직원의 학대행위와 아동의 행위를 매칭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전 사례의 문서에서 아동학대 상황을 설명하거나, 아동학대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는 요소를 추출하고, 각 요소를 생태학적 체계로 분류하였다. 결과: 아동학대 상황을 분석한 결과 학대피해아동의 행위는 ‘교사가 지시한 것을 따르지 않음’과 같이 교사의 통제에 따르지 않는 등의 행위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생태학적 접근에서 아동학대 발생 원인을 살펴본 결과 미시체계인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문제, 중간체계인 원장의 보육전문성 문제, 미시체계와 중간체계 간 상호작용으로 부정적인 어린이집 조직 특성, 부모로 인한 교사 스트레스, 거시체계로 아동학대 행위자 처벌 수준으로 드러났다. 결론: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입력된 2015년 어린이집 아동학대 전수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에서 일어난 아동학대는 교사나 아동의 개인 특성보다는 생태학적 관점의 체계간 상호작용의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외체계인 교사양성과정과 보수교육 체계의 문제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학대 예방 정책 수립 시 체계 간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child abuse at daycare centers using the National Child Abuse Database System in 2015 from an ecological approach. Methods: A study was conducted on 424 cases of child abuse in daycare centers in 2015.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on two levels. First, we analyzed the abuse behavior of the child care staff and the child’s behavior of the abuse situation. Second, we analyzed the documents of all the cases, explained the abuse situation or extracted elements that was reported as causes of child abuse, and classified each element by an ecological approach.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buse situation, the behavior of children affected by abuse showed up at a higher rate, such as not being controlled by teachers like “not following instructions from teachers”. We examined the causes of child abuse from an ecological approach. The results revealed the micro-systematic problem of the child care teacher’s expertise and the problems of the child care director’s expertise, which is a middle system. Negativ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daycare centers interacted between the microsystem and the microsystem and teacher’s stress was caused by parents and the macro-systematic type of punishment level for child abuse. Conclusions: Child abuse in daycare centers was the result of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system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er-system interactions when establishing a policy to prevent child abus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