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가 미래교육의 지향점으로 삼은 웰빙(Well-being)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가정생활분야를 분석하여 실과 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및 웰빙 관련 연구 자료 분석을 통하여 웰빙의 개념 및 내용요소를 파악하고, 11개 웰빙(Well-being)요소 즉, ‘주거, 소득,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을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초등 실과 교육과정에서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에 대한 웰빙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내용 분석의 타당성 검토는 6명의 실과교육전공 초등교사에 의해 2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성격’의 가정생활 분야에서 웰빙의 11개 지수 모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주거, 공동체,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요소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표’에서는 웰빙의 11개 지수 중 소득을 제외한 주거,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 요소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용 요소 및 성취 기준’에서 가정생활 분야는 영역별로 다른 요소들과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인간 발달과 가족’영역에서는 주거, 공동체, 교육,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생활과 안전’영역에서는 주거와 소득을 제외한 모든 웰빙 요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은 웰빙의 11개의 모든 요소와 관련된 내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서는 일부 항목에서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안전요소와 매우 높은 관련성이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실과 교육과정 및 실과 교과서에서의 각 교육 내용 분야 별 웰빙 요소 분석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ield of family life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well-being, which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im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is, identifying the concept and content components of well-being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nd well-being, and the 11 well-being factors, namely housing, income, jobs,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civic engagement, health, life satisfaction, safety, work-life balance , were set as the analytical criteria. Based on this, well-being education in the 2015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urriculum was analyzed.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wice by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racteristic’in the field of family life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was related with all 11 well-being elements, and among them, the relevance to ‘housing, community,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safety’ was found to be high. Second, ‘Objective’ was very closely related with ‘housing, jobs,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civic engagement, health, life satisfaction, safety, work-life balance’ factors excluding ‘income’. Third, the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a relationship with various factors by area.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area was found to be related to ‘housing, community, education, health, life satisfaction, safety, and work-life balance’. In the ‘family life and safety’ area, it was found to be related to all well-being factors except for housing and income, and the ‘resource management and self-reliance’ area was found to have content related to all 11 elements of well-being. Four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was very closely related with ‘jobs,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civic engagement, health, and safety’. Based on the results, follow-up studies on the analysis of well-being factors for each educational content field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suggest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