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올해(2019년)는 3·1독립운동이 일어난 지 백주년을 기념하는 해이다. 이런 연유로 3·1운동에 관련하여 많은 논문들과 책들이 출판되었다. 본 논문 역시 3·1 독립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면서 전북지역에 일어났던 3·1운동을 고찰하였고 특별히 ‘ACTS 신학공관’의 관점에서 연구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북지역 3·1독립운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북지역의 3·1운동은 기독교 신앙과 깊은 뿌리를 갖고 있었다. 이것은 박연세, 임영신, 문용기 등과 같은 3·1독립운동 지도자들의 행동과 삶 속에 찾아 볼 수 있다. 그들은 기독교 신앙과 진리를 견지했다. 그리고 그들의 기독교 신앙은 전북 지역 3·1운동에서 신실하게 표출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전북지역의 3·1 독립 운동은 위대한 신앙 운동이었으며 ‘ACTS 신학공관’의 ‘기독교 중심 진리’와 일치하고 있다. 둘째로, 전북 지역의 독립 운동은 기독교 학교가 중심이 되어 일어났다. 기독교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성경을 가르쳤고, 학생들은 기독교 신앙과 기독교 세계관을 갖게 되었다. 이를 통해 천천히 그리고 확실하게 그들은 민족의 중요성을 배웠고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둔 민족주의를 인식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전북지역에서 3·1운동을 주도했던 기독교인들은 민족의 독립이야 말로 바른 신학을 세우는 것임을 보여 주었다. 셋째, ‘ACTS 신학공관’의 ‘참 신앙인 양육 운동’에서 볼 때 전북지역 3·1 운동은 참 신앙으로 양육된 사람들이 누구인지를 만세 현장에서 바라 볼 수 있게 하였다. 넷째, 전북지역의 3·1운동은 개신교 교파간의 연합(장로교와 구세군)과 종교인과 비 종교인등이 연합하여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때 기독교(개신교) 는 주도세력이었고 천도교가 다른 종파보다 많은 협력을 했다. 다섯째, 전북지역 3·1운동은 교회의 질적·양적인 회복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3·1독립운동 이후 1920년대부터 전북지역 교회는 빠른 양적인 성장을 이루게 되는데, 특히 주일학교의 성장은 매우 괄목할 만한 것이었다. 이러한 주일학교에 대한 지대한 관심은 성인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이전의 교회의 형태와는 전혀 새로운 모습이었다. 이는 군산의 영명학교와 멜본딘 여학교, 전주의 신흥학교와 기전여학교 등의 교사들과 학생들이 보여준 3·1독립만세운동의 모습을 통해 주일학교를 통한 신앙교육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ACTS 신학공관’인 ‘교회 회복 운동’과 일치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전북지역 기독교교인들이 주도한 3·1독립운동은 ‘ACTS 신학공관’의 핵심 가치를 드러내는 위대한 신앙 운동이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