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최근에 강릉시 방언의 성조 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진 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강릉 방언 1음절 어간 풀이씨 성조를 공시적 입장에서 그 성조 변동이 있는지 없는지, 있으면 어떤 모습으로 변동하는지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했다. 강릉 방언은 중세 국어 상성에 대응하는 성조와 평성에 대응하는 성조, 거성에 대응하는 성조가 있고, 몇 굴곡형에 나타나는 특수한 성조가 있다. 성조를 각각 /H/(평성), /M/(거성), /R/(상성), /L/(음거성)으로 표기하며, 이들을 대립 및 중화의 기능에 따라 다시 분류하고 그 음가를 설명하였다.<br/> 1음절 평성 어간 풀이씨에는 모든 굴곡형에서 어간의 성조가 고정되어 있는 것과 어미에 따라 어간의 성조가 평성~거성~상성 등으로 변동하는 것이 있다. 또 어간 성조가 고정되어 있는 것의 대부분은 어미와 결합해서 굴곡형을 이룰 때 당연 규칙으로 성조형이 정해지고, 일부는 모든 굴곡형이 평1형(□·□0, /HM0/)으로 나타난다. 1음절 상성 어간도 굴곡형에서 성조가 상성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과 모음으로 시작되는 씨끝 앞에서 평성으로 변하는 것이 있다. 1음절 거성 어간 풀이씨의 어형 변화는 2음절이면 한결같이 평2형 H²[MH]로 나타나고, 3음절도 평2형 H²M[MHM]로 나타난다. 그러나 어간 2음절 이상의 거성형은 합류 규칙으로 말미암아 평2형으로 변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