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 인사조직연구 분야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나, 많은 장점이 있는 팩토리얼 서베이 기법을 사용하여 직무만족 선행요인을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팩토리얼 서베이 기법은 첫째, 기존 조사연구가 가지는 방법론적 문제점을 극복하거나 최소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속성의 특징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풍부한 맥락정보를 제공하며, 추상적인 개념을 생동감 있게 현실적으로 표현하여 응답자의 주관 개입을 최소화하여 이해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둘째, 특정 질문에 대한 자기보고식 평가가 아니라 비네트에 제시된 상황을 비네트 인물 관점에서 평가하는 간접적인 설문방식이다. 이러한 방법론적 특징으로 사회적 바람직성(social desirability)에 의한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를 줄여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셋째, 응답자는 비네트에 제시된 다양한 속성을 동시에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속성이 갖는 부분 가치를 도출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교한 연구 설계로 자료를 수집하기 전에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반복 측정과 내재적 자료 구조로 신뢰도를 확보한다. D-최적화 설계로 속성수준의 직교 구현과 무선 할당된 속성수준의 변화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내적타당도가 높아져 속성과 직무만족과의 인과관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평가하므로 높은 외적 타당도를 인정받는다는 특징이 있다. 연구자가 조작한 속성수준의 변화에 대해 응답자가 평가하는 방식은 응답원천 분리의 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종사자 60명을 대상으로 600부의 비네트 평가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다층분석을 실시하여 기초모형을 분석한 결과 조직 내 상관(ICC)이 0.072로 나타나 응답자 간 이해도가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급여의 속성수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체, 동료, 승진, 상사의 순서로 영향력 크기가 나타났다. 반면에 성별, 연령 및 직종은 직무만족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분석 결과는 기존 설문지법을 적용한 선행연구와는 방법론, 내용적 측면에서 차별적인 성과를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팩토리얼 서베이는 응답자의 주관적 인식이나 내면의 심리상태와 같이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직무만족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판단원칙과 선호기준을 규명하는데 많은 방법론적,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antecedents to influence employee’s job satisfaction using the factorial survey(FS). The factorial survey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diverse changes in the levels of the attributes provide rich contextual information and reduce the subjective intervention of respondents by expressing abstract concepts in a lively and realistic way. Second, it is not a self-reporting assessment, but rather an indirect method that respondents evaluate vignette situ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a vignette person, thereby reducing the social desirability. Third, respondents consider trade-offs in the combination of levels of various attributes presented in the vignettes. In this way, data, collected through a process similar to a satisfaction mechanism, can be analyzed to extract the partial value of each attribute and derive its relative importance. Finally, reliability and validity can be obtained with sophisticated research design such as random sampling, repeated measure, random assignment, block to deck, orthogonality by D-optimal design. In this study, 600 vignette data were collected from 60 diverse industrial employees. First, multi-level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intra-organizational correlation (ICC) was 0.072, which means that the understanding between the respondents was relatively similar.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salary for job satisfaction was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job itself, coworkers, promotions and supervisors. On the other hand, gender, age, and occupation did not predict job satisfaction. The study with the factorial survey revealed some differentiated results compared to the existing literature using the questionnaire. The factorial survey experiment will provide many methodologic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the respondent’s judgment principles and preference criteria, which are difficult to measure quantitative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posed.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