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8세기 중반 이후부터 ì¡°ì„ ì²­í™”ë°±ìžì— 등장한 병화(瓶花)도상은 화병이나 화분에 식물을 꽂은 도상을 가리킨다. 병화문화는 ëª ëŒ€ 중기 이후 문인들의 ã€Žì¤€ìƒíŒ”ì „(éµç”Ÿå «ç‰‹)』(1591), 『병화보(瓶花谱)』 (1595), 『병사(瓶史)』(1599), 『장물지(长物志)』(1621) 등 ì„œì ê³¼ <병화도(瓶花圖)> 회화를 비롯해 『당시화보 (唐詩畫譜)』, 『십죽재서화보(十竹齋書畫譜)』 등 판화로 확대되었다. 특히 병화의 품등을 청동기와 가요자기 등의 ê³ ë™ 화병으로 구분 짓는 행위는 문인들의 ê³ ë™ê¸°ì— 대한 인식 욕구를 자극했다. 이러한 병화 도상이 시문된 중국 도자는 ìˆ™ì‹ ê³µì£¼(æ·‘æ„¼å ¬ä¸», 1635~1637)묘와 ì¢ ë¡œ 청진 12-16지구에서 발굴되었으며 í—ˆê· ì€ã€Ží•œì •ë¡(é–‘æƒ éŒ„)』에서 ëª ëŒ€ 문인 원굉도(袁宏道)의 『병사(瓶史)』를 부록으로 실어 병화문화를 ì „íŒŒí–ˆë‹¤.ì¡°ì„ ì˜ 청화백자에서도 병화도상은 청동기의 돌기와 ìœ ë‘ë¬¸(ä¹³é ­æ–‡)으로 표현되었으며 가요자기의 ë¹™ë ¬ë¬¸ì–‘ë„ 확인된다. 특히 중국 청화백자에서는 보이지 않는 청동기 돌기와 가요자기의 ë¹™ë ¬ë¬¸ì„ 결합한 병화도상도 등장한다. 또한 병화의 êµ¬ì²´ì  품등에 대한 기록과 삽화가 등장하는 이덕무의 ã€Žì²­ìž¥ê´€ì „ì„œ(é‘èŽŠé¤¨å ¨æ›¸)』와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에서 병화문화에 대한 이해가 확인되며 19세기 ì´ìœ ì›ì€ 「화사(花史)」에서 병화문화를 시로 각색하였다.ì´ë ‡ë“¯ 도자에 ê·¸ë ¤ì§„ 병화도상은 중국으로부터 ìœ ìž ëœ 문인들의 병화문화에서 영향을 받았다. ì¡°ì„ ì—ì„œë„ í—ˆê· ì´ë‚˜ 김홍도, ì´ìœ ì› 같은 문인들은 화병을 ì„ ë³„í•˜ëŠ” 병화문화를 í–¥ìœ í–ˆë‹¤. ê·¸ 외에도 ì¡°ì„ ì²­í™”ë°±ìžì˜ 문양을 통해 병화문화의 ì €ë³€ 확대도 ìœ ì¶”í• ìˆ˜ 있었다. ì´ë ‡ê²Œ 병화도상은 ì¡°ì„ ë¬¸í™”ì˜ 일면에 대한 ì •ë³´ë¥¼ ì œê³µí•´ì£¼ëŠ” 주요한 매개체로서 도자의 문양이 문화의 ì „ë‹¬ìžë¡œì„œ 어떻게 ê¸°ëŠ¥í•˜ê³ ìžˆëŠ”ì§€ë¥¼ 보여주는 ì˜ˆë¼ê³ í• ìˆ˜ 있다. 색인어: 병화도상 (瓶花圖像), 품등 (品等), ê³ ë™ (古董), 가요 (哥窯), 문인취향(文人趣向) Keywords: Flower arrangement images, Method of rank grade, Antiquities, Ge Kiln, Literari tastes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