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 기간 중 초등영어 수업실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22년 10월에 총 4 주간의 수업실습에 참여한 3학년 예비교사들 중, 3~6학년에 배정된 총 53명의 예비교사들(영어과 25명, 국어과 11명, 사회과 17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3학년 수업실습 기간 중 평균 1.6회의 영어수업을 하였다. 하지만 예비교사들이 1~2학년에 배정이 되면 영어수업을 할 기회를 한 번도 갖지 못하고 졸업을 할 수도 있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78%가 본인의 영어수업에 만족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예비교사의 75%는 실습기간 중 영어수업에서 수업의 60%이상을 영어로 진행하였으며 80%이상의 영어를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학생들도 이 중 47%나 되었다.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의 영어수업에서 영어사용의 정도는 학과별 차이보다 실습학교 별로 차이를 보였다. 대전지역 실습학교의 경우,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60%이상의 영어를 사용하여 영어수업을 하였으나 충남지역에서 수업실습을 한 예비교사 중 영어수업에서 60%이하의 영어를 사용하였다고 답한 경우가 다수 발견되었다. 넷째, 예비교사들의 91%가 영어수업 참관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1~2학년에 배정된 예비교사들과 3~6학년에 배정된 학생 중에서도 일부(9%)의 학생들은 영어수업 참관의 기회를 갖지 못하였다. 다섯 째, 89%의 실습생들은 실습기간 중 지도교사로부터 받은 도움이 매우 적절하거나 적절하였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11%의 실습생은 지도교사의 도움이 적절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설문에 응답한 예비교사의 87%가 교육대학의 수업이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고, 13%의 학생만이 교육대학의 수업이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을 하였다. 응답한 예비교사의 87%가 졸업 후 영어수업을 할 자신이 있다는 응답을 하였고, 나머지 13%의 예비교사들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을 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지도교사의 교생지도 전문성 제고와 교생지도 표준화의 필요성, 모든 예비교사들이 교육대학 교육실습 기간 중 적어도 1회의 영어수업 참관 및 시연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실습학교 배정 시 고려를 해야 할 것 등의 개선점을 제안하였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primary English teaching practice.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53 pre-service teachers who had teaching practice for four weeks in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had an average of 1.6 English teaching opportunities. However, if pre-service teachers were assigned to 1st or 2nd grade, they may graduate without ever having an opportunity to teach English during teaching practicum. Second, 78% of pre-service teachers seem to be satisfied with their English teaching. Third, 75% of the pre-service teachers taught more than 60% of the English classes in English, and 47% of the students used English for more than 80% of the classes. In this study, the degree of English use in pre-service teachers' English classes showed differences by schools rather than by their majors.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most pre-service teachers used more than 60% of English to teach English. Fourth, 91% of pre-service teachers had the opportunity to observe English classes. However, the pre-service teachers assigned to the 1st and 2nd grades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observe English classes. Fifth, 89% of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feedback they received from the guidance teacher during the practicum was helpful. Sixth, 87%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swered positively that the English education-related courses of the pre-service teacher program were helpful, and only 13% of the students answered otherwise. 87% of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confident in teaching English after graduation. The remaining 13% of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no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better pre-service English teaching practi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