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국내 건설산업은 정부정책으로 인해 변화를 요구받고 있으며, 제조업 등에 비해 2배 이상 사망재해가 발생하는 등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술의 혁신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건설 현장은 4차 산업 현명을 맞이하여 BIM, 드론, ICT 기반 현장관리 기술 등 스마트 건설기술이 일부 도입되어 활용되거나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일부 스마트 기술들은 아직 연구개발 중으로 전면 활용이 어렵지만, 학계, 발주처 및 건설업체 등에서는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등 현장 적용성에 관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 2020년부터 건설사 및 공공기관은 IoT, 센서, 웨어러블 등의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을 본격화하고 있지만, 국내 건설 현장은 전반적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며, 따라서 「스마트 건설안전 시스템」모델 개발을 통해 효율적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에 따른 실효성 제고 방안으로 공공부문 300억 이상의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적용실태 사례조사와 건설 현장 전문가 설문 분석을 통하여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AHP 분석법으로 상대 비교를 통한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등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는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종류를 계층화하고, 공공기관 발주 공사금액 300억이상 10개 현장에 대해 스마트 안전 장비 적용사례, 스마트 안전 장비 비용 적용사례를 1차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 현장 전문가들의 설문 분석을 AHP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하며, 실효성이 높은 스마트 안전 장비를 도출하여 제시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 장비 선정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AHP 분석에서도 도출됐듯이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사고당사자인 근로자의 위험 요소를 상시모니터링하여 사고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해야만 사고는 예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현장 조사 결과와 설문 분석 결과로 볼 때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비용에 대한 계상 주체와 계상금액 설계가 표준화되지 못한 부분은 정부에서 기준을 통계방식으로 요율을 표준화하여 발주자가 일괄 적용하고 시공사가 운영하여 효과를 높이는 것이 사고 예방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 장비의 실효성 제고 적용을 통한 안전 활동 수준 향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