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연구목적: 유아교사로 생활하는 중 겪게 되는 언어폭력 경험과 상처, 교사들의 대처 자세와 노력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언어폭력경험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사회적으로 공유하고 제도적 보호 등을 포함하여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언어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유아교사 8명을 대상으로 면담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코딩 작업을 통해 범주화하였고, 주제를 도출하고 의미를 해석하여 기술하였다. 결과: 유아교사들은 주로 부모, 원장, 동료교사, 기관 관계자에 의해 언어폭력을 경험하였고 심리적인 상처는 교사직에 대한 회의감, 부담감, 사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들의 소극적 대처는 교사자신을 권력의 약자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교사들은 상처를 빨리 잊고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결론: 유아교사는 ‘서비스업’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가하는 폭력으로 인해 직업적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사회분위기가 있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에 대한 언어폭력을 줄이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hidden meaning of utterance through the profound narratives of teachers about the experiences of verbal violence and the wounds, and the way how they deal with various problems. Methods: For the research, this author adopted the following study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8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verbal violence during their working days. The collected data were interview data and field note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theme-coding work. Results: The teachers of the early childhood experienced verbal violence mainly by the parents, the director, the fellow teachers and the institutional personnel. The psychological wounds also affected the skepticism, the burden and the resignation intention of the teachers. The passive coping of the teachers was the abbreviation of the power But the teachers were trying to get rid of the situation quickly. Conclusions: There was a social atmosphere in which early childhood teachers could not make professional voices because of violence caused by social awareness of ‘service industry’. This suggests that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to reduce verbal violence against early childhood teacher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