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은 산업정체기에서 나타나는 진입과 경쟁과 같은 산업동학의 특징이 퇴출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Cox의 비례위험함수(Proportional Hazard Function)에 근거한 실증모형을 2001년부터 2016년까지 기간 동안 강원도 제조업의 1253개 기업 5104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① 규모분포의 하위 25%보다 적은 소규모 기업들이 주로 시장진입을 하였고, 그 결과 신규기업의 시장진입이 기존기업의 퇴출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② 기존논문의 연구결과와 다르게 시장구조변화를 유인하는 경쟁정도(산업기업수)나 산업성장률은 퇴출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생산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규모, 기업업력, 노동생산성, 자본집약도는 퇴출확률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이러한 변수가 퇴출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산업정체기가 구조화되면서 더 커진다. 그 결과 강원도 제조업의 기업퇴출률은 전국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높게 나온다. ③ 강원도 제조업의 자본집약도가 높은 성숙기업의 자본투자가 그 자신의 퇴출확률은 0.07% 높인다. ④ 통제변수로 사용된 기업규모, 기업업력, 노동생산성, 자본집약도 등은 기존논문의 연구결과와 다르지 않다. 특히, 다만, 기업규모와 기업업력은 퇴출확률에 대해서 비선형관계를 가진다. 추정치를 이용한 정량분석은 기업규모와 노동생산성 증대가 퇴출확률을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이며, 자본집약도는 퇴출확률을 줄이는데 효과가 크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퇴출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산업정체기의 산업동학특성 요인을 전수조사 패널자료를 이용해서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퇴출연구 심화에 기여한다.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problem of industry dynamics such as market entry and competition appearing in the period of slowing industrial growth. A empirical model, which is based upon Cox’s proportional hazard function, is devised. Utilizing 5,104 sample of 1,253 manufacturing firms in Gangwon province over the period of 2001 and 2016, the following empirical results are obtained. ① Small scale of firms in the lower 25% of firm scale distribution enter into the market in the slowing growth period, leading to no impact on the exit probability of the incumbents in the industry. ② Unlike the existing empirical results, variables such as market competition and industrial production growth rate, which induce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do not make impact on the exit probability but variables such as scale, age, labour productivity and capital intensity, which induce changes in production costs, do make impact upon the exit probability. The exit probability induced by these variable becomes higher the longer is the period of slowing industrial growth. As a result, the firm exit rate increases as compared with the average firm exit rate of the nation. ③ The capital investment for the mature firms in the slowing industrial growth period rather increases the exit probability by 0.07%. ④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cale, age, labour productivity and capital intensity variables are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se variable shown in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The only difference is that scale and age variables in our research show non-linear relationship with exit probability.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s that scale and labour productivity are most effective but capital intensity is least effective in decreasing the exit probability. Our research thus fills the gap in the existing exit literatures and thus widens the scope of exit analysi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