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여성 관리자들이 인상관리 행동을 채택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동인과 상황적 요인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먼저 여성 관리자들이 조직 내 구조적 제약(유리천장)을 인식하게 되면 제한된 기회를 늘리고 사회적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인상관리의 동기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인상관리 행동은 상사중심과 직무중심 인상관리로 구분하였다. 유리천장으로 대변되는 여성에 대한 구조적 제약은 제도적인 문제라기보다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유리천장 지각과 인상관리 행동에 있어 문화의 영향에 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를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금융기관에 근무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인상관리에서 조직 내 맥락적인 요인이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볼 때 이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상사지원에 대한 인식과 비공식 네트워크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국가(한국, 미국)에 따른 차이점을 다집단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과 미국의 500인 이상 금융기관의 여성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 24개 금융기관 대리급 이상 여성 관리자 148명과 미국 캘리포니아 및 뉴욕 22개 금융기관에 근무하는 미국 여성 관리자 128명의 설문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상관리를 형성하려는 동기는 여성 관리자의 유리천장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상사중심 인상관리 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리천장과 인상관리 행동에서 사회적 지원으로 상사지원은 상사중심 인상관리를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비공식 네트워크는 직무중심 인상관리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두 국가(한국, 미국)에 관한 차이는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집단 분석결과 유리천장 인식과 인상관리 행동은 직무중심 인상관리 측면에서 국가별 상이하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된 유리천장과 직무중심 인상관리에서 비공식 네트워크의 조절효과에서도 유의한 국가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