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당 왕조에 널리 사용된 당식 대장식구는 관인을 상징하는 허리띠로서 당 왕조는 물론이고, 발해와 신라, 일본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동아시아 문화권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율령을 나타내는 고고 자료로 그 중요성이 높다. 이를 염두에 두고 그동안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발해에서의 당식 대장식구 출토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에 대한 기초적 검토를 시도한다. 발해 내에서 출토되는 당식 대장식구는 중국 당 왕조에서의 변화과정과 동일한 변화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대장식구를 착용할 때 배열되는 방형과판과 반원형 과판의 위치 역시 당 왕조, 신라와 같이 강한 규칙성과 정형성을 보여준다. 아울러 홍준어장 고분군에서 당식 대장식구와 공반된 발해토기의 상대서열, 북대 고분군에서 출토된 중국 자기, 동경과의 교차연대를 통해 실연대 도출이 가능하였다. 이에 발해에서 사용된 당식 대장식구는 중국에서의 변천과정과 그 궤를 함께 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형태의 변화 역시 동일하다. 발해 내부에서 당식 대장식구는 발해의 중심지였던 5경 인근의 고분군뿐만 아니라 발해의 주요 지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어 관인의 존재를 유추할 수 있다. 한편 발해 영역서 출토되는 이른바 ‘말갈패식’이 공존한다. 발해의 주민구성에 말갈족이 포함되는 점에 미루어 말갈패식은 말갈인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표상이자 발해 지방사회에 존재했던 수령의 존재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당식 대장식구와 말갈패식의 공존은 당 왕조 및 신라와 차별성을 보임과 동시에 발해 문화의 다원성을 엿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주목된다.As they were used frequently during the as well as in the Parhae and Silla kingdoms and across Japan, Tang-style metal belt ornaments are important archaeological artifacts and symbolic of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This article discusses the littleresearched topic of Tang-style metal belt ornaments unearthed from the Balhae kingdom and provides an initial analysis of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The belt ornaments of this style that have been excavated from Balhae domains to date exhibit the same patterns of change as those known from the Tang dynasty. The rectangular and semicircular belt brooches of these ornaments were aligned in the same regular sequence as those known from both the Tang dynasty and the Silla kingdom. Thus, these Balhae ornaments can be dated by comparing them to the hierarchy of pottery from this region excavated from the tomb site as well as with Chinese porcelain and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the Bukdae tomb site. This analysis shows that ornaments of this type used in Balhae underwent the same temporal stylistic changes as their counterparts in China. The Tang-style metal belt ornaments that have been collected from within the Balhae kingdom evidence the presence of state officials as they have been excavated from tomb sites near to the Five Capitals as well as uniformly across the major regions of the country. In addition to these artifacts, so-called Malgal belt ornaments have also been excavated from the territory of the Parhae.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Malgals comprised part of the Parhae demographic make-up, ornaments of the former style were likely identity symbols and raise the possibility that Malgal chiefs were also present within provinces controlled by the Balhae. The coexistence of Tang- and Malgalstyle metal belt ornaments therefore reflects the heterogeneity of Balhae culture and demonstrates its distinctiveness compared to the Tang dynasty and Silla kingdo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