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여가생활 활동수단으로 자전거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자전거 운전자의 과실로 인한자전거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도로교통관리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최근 5년간(2014-2018) 자전거 운전자가 교통사고의 원인을 제공한(제1당사자) 사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전거 사고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사고전개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1, 2차 세부적인 사고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인명피해는 사망자뿐만 아니라 부상자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자전거 사고는 1차적으로 자전거대차(일부 원동기 및 자전거 포함), 2차분류에서 측면충돌이 가장 높은 확률을 나타내고 있었다. 반면 1건당 인명피해는 자전거 단독 사고중 도로이탈이 가장 치명적인 것으로 나타나, 인체손상의 심각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자전거 사고는 대부분 안전수칙 미준수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므로 개개인은 방향전환 시수신호, 안전모 착용과 같은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지켜야 한다. 지자체와 정부는 인적오류를 개선할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홍보, 단속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할 것이다.Bicycle riding becomes more popular as a leisure activity and bicycle accidents by human error have recently increased. To provide safety measure for the accidents, this study performed a risk analysis of bicycle accidents in South Korea. We collected the statistical data of bicycle accidents due to driver’s negligence during 5 years (2014-2018) from Koroad TAAS (Traffic Accidents Analysis System). Bicycle accident types were identified in the 1st and 2nd detailed classifications, and human casualty was weight calculated including fatalities and injuries. The results show that side collision by an automobile is most frequent and driving off the road is the most severe in fatality rate.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bicycle accidents occurred by human error,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should improve road safety education and campaign and enforce safety regul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