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은 일반 이용시설 보다 화재 등 사고 발생 시에 그 피해가 심각하게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안전관련 규정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현행 법률에서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그 개념적 정의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 않아 그 범위를 어디까지 보아야 하는 가 등이 의문이다. 또한 현행 법률에서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안전조치를 하도록 정하고 있으나, 이를 위반한 경우 가벼운 행정처벌에 국한하고 있어, 위반자에 대한 처벌이 위반을 억제하는데 있어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안전을 위하여 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즉 다중이용시설이 화재 등 사회적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기 위해서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는 법체계의 통일적 정비와 함께 제재수단의 실효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과태료와 이행강제금 등이 현실화 들을 제시하여,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A review on problem of legislation system regarding safety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and ideas to solve the problem In case of fire, public facilities lots of people use could be more dangerous than usual ones so it is necessary to set more strict safety regulation. Current law does not clearly regulate conceptional definition about public facilities. For this reason, it is questionable to make a distinct categorization between public facilities and usual ones. Furthermore, the present law stipulates public facilities should be equipped with safety measures to cope with accidents such as fire, but when the safety regulation is violated, the punishment is not severe, just light administrative penalty. As a result, that kind of punishment is not effective in curbing the violations.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current law has for the safety of public utilities which a majority of citizens make use of and suggested some plans to improve the problems. For public facilities to be prevented from disasters such as fire, it is needed to set up unified law system as well as coming up with realistic penalty enforcement to make sure of controlling violations against safety rul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better ideas to maintain safe public facilit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