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그리스도의교회 선구자 동석기의 성숙성에 관하여 심리전기적 관점을 제시해 보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교회의 신앙적 전통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새로운 시대에 양적 성장을 넘어서 질적 성장으로 가는 패러다임과 성숙의 길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및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McAdams의 이야기심리학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동석기 성숙성의 심리전기적 관점은 4가지로 드러났다. 즉, ‘후견인 됨’, ‘나라 됨', ‘소박함’, 그리고 ‘친구됨’이었다. 이렇게 구성된 성숙성의 이야기 대본은 '환원적 성숙성'이라고 명명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초기 한국 기독교 전통 속에서 성숙성의 주제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교세 중심의 양적 성장을 추구하는 패러다임에서 작고 소박한 것에서도 본질을 찾을 수 있는 질적 패러다임 관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한국 기독교 선각자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심리전기 연구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sycho-biographical perspective on the generativity of Dong Seok-ki, a pioneer of the Church of Christ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literature review and related data and analyzed them using McAdams' narrative psychology. As a result, the psycho-biographical perspective of Dong Seok-ki’s generativity was analyzed into four categories. In other words, it was 'becoming a guardian', 'becoming a country', 'simplicity', and 'becoming a friend'. The narrative script of generativity composed in this way was named 'restorational generativity'. Through this study, the theme of generativity in the early Korean Christian tradition was discovered and implications were obtaine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present a qualitative paradigm perspective that can find its essence even in small and simple things in the paradigm of pursuing quantitative growth centered on the number of church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