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포 분석을 통해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예비일반교사에게 통합교육에 대한 메타포 작성 질문지를 제시하여 총 1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코딩과 제거 단계, 분류 및 범주화 단계, 신뢰도 평정 단계, 양적 자료 분석 단계로 실시되었다. 분류 과정을 통해 97개의 메타포가 선정되었으며 의미에 따라 7개의 주제 (1) 조화, (2) 필수 요소, (3) 선행 학습, (4) 연결 고리, (5) 양날의 검, (6) 다양성, (7) 낯섦과 두려움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성별, 학년, 전공대학, 학령기 통합교육 경험 유, 무에 따라 메타포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집단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clusive education through a metaphor analysis. For this purpose, metaphorical questionnaires for education were presented to pre-service teachers and a total of 112 data were collected.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in coding and elimination phase,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phase, reliability rating phas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phase. 97 metaphors were selec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process and categorized into seven themes, (1) harmony, (2) essential elements, (3) prior learning, (4) linkage, (5) double-edged swords, (6) diversity, (7) unfamiliarity & fear.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aphor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gender, grade, major in college and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in school age.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