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상황이야기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의 효과를 상황이야기 중재 준거에 기초해 분석 하는 것이다. 2019년 8월까지 게재된 국내에서 실시된 상황이야기 중재 연구 중 분석조건을 충족한 논문 21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 참여자 준거 측면에서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능력이 70이상인 경증의 자폐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둘째, 상황이야기 실행준거 측면에서는 상황이야기를 단일중 재로 사용한 중재가 추가전략을 사용한 중재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연구 참여자가 상황이야기를 직접 읽고 이해도 확인에 참여한 중재가 효과적이었다. 셋째, 상황이야기의 문장 준거 측면에서는 12문장 이하의 기본비율 상황이야기가 효과적이었으며, 문장구성에서 설명하는 문장의 상황이야기 문장비율을 갖춘 상황이야기가 효과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토대로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상황이야기 중재 준거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중재 실행의 방안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s criteria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 extensive search process yielded a total of 21 social story intervention studies. A summary of the results is in the following. Firs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was the most effective wh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ild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over 70 intelligence quotient score. Second, the studies, used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only and comprehension test,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ones, used the other additional strategies and no comprehension test. Third,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which has less than 12 sentences and more descriptive sentences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