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능력주의 프레임의 교육에서 권장되는 ‘자존감’의 특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자기관계로서 ‘자기존중’의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철학 담론에서 자존감(self-esteem) 개념이 사회의 재화와 명예가 차등적으로 분배되는 데 영향을 받는 자기평가라는 점을 제시하고, 이러한 특성이 능력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논한다. 이어 교육이 능력주의 이념에 종속되어 높은 학력을 위한 경쟁의 각축장이 되는 가운데 학생들에게 자존감을 가질 것을 권장한다면, 이때의 자기평가를 위한 기준은 가시적이고 외적인 결과에 토대할 뿐만 아니라 경쟁의 승자와 패자 모두 오만과 분노를 내면화하고 인간다움을 상실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그리하여 인간다움을 회복하고 내적인 자기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개념적 자원으로서 자기존중(self-respect)을 제안한다. 자기존중 개념은 스스로에게 내리는 자기평가임에도 불구하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밝히면서, 이를 위한 교육적 접근에서 착안할 지점을 인간다움의 표현 및 태도의 형성 측면에서 논한다. 궁극적으로 자존감과 자기존중은 상호보완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교육이 능력주의의 작동을 위해 일정한 역할을 할 수밖에 없지만 그 원리의 작동 바깥에서 ‘삶을 살아내는 능력’을 키우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한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lf-esteem recommended in education based on the Meritocracy and to clarify the educational meaning of self-respect as a self-relationship to complement it. To this end, I suggest that the concept of self-esteem in the social philosophy discourse is a self-evaluation influenced by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goods and honor in society and discuss these characteristics are closely related to Meritocracy. Next, it is noted that if the students are recommended to have self-esteem while education becomes a battleground for competition for high academic achievement under the Meritocracy, the criteria for self-evaluation will not only base visible and external results, but could expose both winners and losers of competition to the risk of losing their humanity. Thus, I suggest self-respect as a conceptual resource that can contribute to restoring humanity and establishing internal self-evaluation criteria. Although the concept of self-respect is self-evaluation, it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formed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I discuss the points to focus on in the educational approach for this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humanity and the formulation of attitude. Ultimately, self-esteem and self-respect can be understood as complementary concepts, suggesting that although education has no choice but to play a certain role for the operation of Meritocracy, it can als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ability to live life’ outside the operation of the principle of Meritocracy.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