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복수의 하위구인으로 이루어진 실제 검사 구조를 고려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을 이용한 검사의 연계화 방법들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Oshima, Davey와 Lee(2000), Li와 Lissitz(2000), Min(2003)의 세 가지 분리추정과 동시추정방법을 이용하여 공통척도로의 변환을 수행하였다. 추정방법들의 비교를 위해 피험자 집단의 크기, 공통문항의 비율, 능력차원의 상관 조건 별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동시추정방법이 분리추정방법들에 비해 양호한 연계화 결과를 보였다. 단, 능력 차원들의 상관이 낮으며 집단의 크기가 충분히 크고 공통문항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분리추정을 이용한 연계화 결과의 정확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다차원 검사들의 연계화의 일반적인 상황에서 동시추정방법의 사용을 제안하며, 분리추정방법을 이용하여 공통척도로 변환 시에는 충분한 피험자 수의 확보와 공통문항이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est linking methods using a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model through simulation technique by considering the actual test structure composed of several constructs. The transformation to the common scale is performed using three separate calibration methods: Oshima, Davey and Lee (2000), Li and Lissitz (2000), Min (2003) and concurrent calibration method. For comparison of calibration methods, results are derived from the number of examinee, the dimensional correlations and the ratio of common item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urrent calibration method performs well in linking than three separate calibration methods. However, when the correlation of ability dimensions is low, the number of examinee is large enough, and the ratio of common items is high, the separate calibration methods also provides accurate linking results. In conclusions, concurrent calibration method has an advantage of multidimensional tests linking.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ufficient number of examinee, increase the ratio of common items when transforming to common scale with separate calibration method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