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가 글로벌 교육 의제를 국제사회에서 주류화하고 이를 국가 내에 수용하여 이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양상을 주요 행위자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비교하여, 글로벌 교육 의제의 확산 과정에서 국가의 역할과 내적 동학에 관한 논의를 심화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UNESCO 및 UN 보고서, ESD 및 GCED 관련 연구, 한국과 일본의 정부 간행물 및 언론보도 등의 문헌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일본 측 자료의 경우 현지 전문가 2인의 검토를 거쳤다. 이러한 검토 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행위자들 간 상호작용 의 양상을 오툴과 몬트조이(O Toole Jr. & Montjoy)의 상호의존성 유형(Types of Interdependence) 이론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일본은 국가의 상이한 정치 사회 경제적 목적에 따라 글로벌 교육 의제를 국제사회에서 주류화하려는 노력을 전개하고, 이를 통해 국내 이행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한국은 ‘국제사회에서의 교육적 리더십 선도 및 교육ODA 수출’을 위해, 일본은 ‘국가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는 국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TLT 담론을 글로벌 의제화 하였다. 또한 이러한 글로벌 교육 의제를 국내에 수용하고 이행하는 과정에서 일본은 주로 호혜적 상호의존성을 보는 반면, 한국은 주요 교육 행위자들이 분절화 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목표에 접근하는 연합적 순차적 상호의존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결론] 한국과 일본의 사례는 글로벌 교육 의제의 수용 및 이행 과정에서 국가가 여전히 적극적 행위자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국가는 대내외의 상이한 정치경제적 환경 속에서 주요 행위자와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을 통해 글로벌 교육 의제를 재맥락화(re-contextualization)하는 것이다. 이러한 글로벌 교육 의제의 정치적․수사학적 측면은 향후 국가 내 행위자 간 역동에 관한 이론적 논의의 심화 가능성을 제공한다.[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odality of the state’s strategies for mainstreaming the global education agenda in the global governance and to implement the agendas within the state, in terms of the interaction of the major actor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UNESCO and UN reports and documents, research works on ESD and GCED, government publications and press releases in Korea and Japan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O’Toole Jr. and Montjoy’s Types of Interdependence. [Results] Korea and Japan tended to make efforts to mainstream the global education agenda in the global governance by the different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purposes of the country. Also, both countries capitalized on the agendas to legitimize domestic implementation. The two countries were in common as Korea has championed the global agenda to “lead educational leadership in the global community and export education ODA,” Japan to achieve its domestic purpose of “reinfor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fostering global talent.” Although both states adopted government-led strategies, Japan has built a reciprocal interdependence typ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ESD, whereas Korea has formed a pooled and sequential ype where major educational actors fragmented were respectively approaching their goals. [Conclusion] The case of Korea and Japan suggests that the state still retains its status as an active actor in the acceptance and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education agenda. The state recontextualizes the global education agenda through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with relevant actors in different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s at home and abroad. The political and rhetorical aspects of the global education agenda offer the possibility for further in-depth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dynamics among actors within the stat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