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쇠고기 등급제는 부정육 유통근절, 축산기술 일반화 등 한국 축산업 역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축산정책으로 불리우며 축산업 생산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시장 개방이 확대되면서 쇠고기 등급제가 한국 육우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지만 과도하게 마블링 수준에만 의거하여 평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소비자들은 등급제가 전달하려는 객관적 정보 외, 다른 정보들도 추가하여 받아들일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쇠고기 등급제를 인지함에 있어 품질 척도 이외, 어떠한 인식을 형성하고 있는지 에 대한 이질성 시각에서의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데이터를 이용하여 쇠고기 등급 선호와 축산물 구매 특징, 인구 통계 특징 간의 영향 관계를 기술하고, 한우 쇠고기 생산 유통 체계 하에서 소비자의 소비 패턴과 인식 특징 등의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축산물 구입시 고려기준에서 가격보다는 안정성, 신선도와 영양을 고려하는 소비자일수록 높은 등급의 쇠고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는 높은 등급 쇠고기가 낮은 등급 쇠고기보다 안전하고 신선하며 영양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변량 프로빗 모델을 이용해 변수 간의 내생성을 측정하고 쇠고기 등급제도의 정보비대칭성을 검증하였다.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mong beef grading preference and livestock products purchase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Korean beef production and circulation system.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The current Korean beef production and circulation system were investigated and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Data were drawn from the “Consumer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2018” publish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Research Institute. The Bivariate-Probit model was used to detect the endogeneity between variables, and the asymmetry of the information. Results: Using bivariate probit models, the study found that consumers in general have a misperception that high-grade beef is safer, fresher, and more nutritional than mid or low-grade beef. Conclusion: The current grading system cannot be a correct guide for consumers’ beef purchase behavior. It is proposed that when formulating the beef grading system, the relevant stakeholders involved should carefully convey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beef grading syste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