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구두를 제작하는 기본 틀인 라스트는 3차원 형상과 관련된 정보와 기술이 총체적으로 집약된 결과물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3D 프틴팅 기술을 이용한 구두 제작이 상용화 단계에 도달하였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도입 초기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화산업의 경쟁력 확대를 위해, 3D 스캐닝, 3D 모델링, 3D 프린팅의 첨단 기술로 구성된 3D 제작 프로세스를 라스트 제작에 도입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도 SizeKorea에서 3D 스캔한 30대 남성 200명의 3D 발 형상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3개의 발 유형을 분류한 후, 각 유형별 대표모델을 선정하였다. 대표모델들의 3D 스캐닝 형상에서 XY, YZ, XZ평면의 단면도들을 추출하고, 라스트 모델링의 스케치 단면으로 사용하였다. Solidworks CAD를 사용하여 라스트를 3D 모델링하였으며, 보급형 3D 프린터인 MakerBot Replicator2로 3D 프린팅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제화산업에서 3D 프린팅 기술의 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3D 스캐닝, 3D 모델링, 3D 프린팅의 3단계 생산설계 방식은 향후 의류패션산업 전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hoe last which is the framework for the shoemaking is intensively combined with the 3D data and technologies. International shoe companies have already commercialized 3D printing technology in producing the shoe, but domestic shoe companies are still in their early stages. This study used the 3D scanning, 3D modeling and 3D printing of the high-technology to make the shoe last. This 3D producing processes should be helpful in building competitiveness in domestic shoe industry. The 3D foot scanning data of men in 30s(n=200) were collected in SizeKorea(2010). The basic statistics, factor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They were categorized in 3 groups by 3D foot measurement data, and the standard models were selected in each group. The cross sections in XY, YZ and XZ planes sliced from 3D scan data of the standard model were used in the sketches of the 3D shoe last modeling. The 3D shoe last was modeled by Solidworks CAD and printed by MakerBot Replicator2; a desktop 3D printer. This research showed the potential for utiliz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the domestic shoe industry. The 3D producing process; 3D scanning, 3D modeling and 3D printing is expected to utilized widely in the fashion industry within the nearest futur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