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미국 LA항과 LB항, 로테르담항을 중심으로 친환경적인 항만을 개발하기 위한 Green Port 추진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싱가포르항, 상하이항, 두바이항 등은 화물, 사람, 정보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는 진정한 의미의 종합항만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제 항만은 더 이상 여객이나 화물을 실어 나르는 단순한 역할만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21C 종합항만은 항만 그 자체가 여객이나 화물, 정보, 금융의 집결지가 되고, 항만주변의 물류배후부지가 화물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HP 분석을 통해 21C 종합항만으로 성장하기 위한 부산항의 추진과제를 각 분야별로 도출하고, 도출된 추진과제를 정량요인(지역내 사업비중, 특화정도, 산업연관효과)과 정성요인(미래성장성, 경쟁력확보, 혁신역량)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추진과제별 평가값을 바탕으로 사업의 우선순위 도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Green Port project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port is active to lead by Port of LA, Port of LB in the USA and Port of Rotterdam. While, Port of Singapore, Shanghai Port and Dubai Port are trying to be a complex Port to function as a true portal not only for freight, but also for people and information. Ports, in this era, doesn't just play a simple transportational role for passengers and freight. Ports in this 21st century, play a role as a center where passengers, freight, information and money gather and a place where freight is created from nearby supporting area.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raw action plans for Port of Busan to grow as Complex Port in the 21st century by AHP analysis and evaluate the action plans of each field by quantitative factors (business portion in the area/specialty/synergy effect with other industry) and qualitative factors (potential for future growth/competitiveness/ capability for innovation). The evaluation result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decide business prior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