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동아시아 지역 봄철에 주로 발생하는 황사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지역에서 발생한 2009년 황사 기간의 종관 일기도와 자동기상관측장비(AWS)를 이용한 기상해석, <TEX>$PM_{10}$</TEX> 샘플러와 레이저입자계수기(LPC)를 이용한 대기입자상 물질농도 분석, 위성영상과 역궤적분석 모델을 이용한 발생원을 조사하였다. 2009년 2월 20일의 경우 (사례 1), <TEX>$PM_{10}$</TEX> 농도가 급격히 증가할 때 <TEX>$0.3-1.0{\mu}m$</TEX>의 작은 입자의 에어로솔 체적 농도 분포가 감소한 반면 <TEX>$1.0-10.0{\mu}m$</TEX>의 큰 입자의 농도는 증가하였다. 그 후 <TEX>$PM_{10}$</TEX> 농도가 감소할 때 지상의 풍향은 북풍에서 남서풍으로 변하였으며, 전체 에어로솔 농도는 감소하였다. <TEX>$PM_{10}$</TEX>과 <TEX>$1.0-10.0{\mu}m$</TEX>의 큰 입자 농도의 상관계수는 0.9 이상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내몽골 지역에서 발달된 황사가 중국 고비 사막을 통과하여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2009년 4월 25일의 경우 (사례 2), <TEX>$PM_{10}$</TEX> 농도가 급격히 증가할 때 <TEX>$0.3-0.5{\mu}m$</TEX>의 작은 입자의 에어로솔 체적 농도 분포가 감소한 반면 <TEX>$0.5-10.0{\mu}m$</TEX>의 큰 입자의 농도는 증가하였다. 그 후 <TEX>$PM_{10}$</TEX> 농도가 감소할 때 <TEX>$0.3-0.5{\mu}m$</TEX>의 작은 입자의 농도는 증가한 반면 <TEX>$0.5-10.0{\mu}m$</TEX>의 큰 입자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이 때 지상의 풍향은 북동풍에서 남서풍으로 변한 후 다시 북동풍으로 변하였다. <TEX>$PM_{10}$</TEX>과 <TEX>$1.0-10.0{\mu}m$</TEX>의 큰 입자의 농도의 상관계수는 약 0.9에 가까운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입자의 역궤적 수송 모델 분석 결과, 만주지역과 중국 동쪽 해안으로부터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ulates during the Asian dust period in Busan, Korea in the spring of 2009. Weather map and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synoptic weather conditions during the period. Particulate matter 10, laser particle counter data, satellite images and a backward trajectories model were used to analyze the aerosol particles distribution and their origins. In Case 1 (20 February 2009), when the <TEX>$PM_{10}$</TEX>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erosol volume distribution of small (<TEX>$0.3-1.0{\mu}m$</TEX>) particles decreased, while the concentration of large (<TEX>$1.0-10</TEX><TEX>.0{\mu}m$</TEX>) particles increased. When the <TEX>$PM_{10}$</TEX> concentration decreased, the aerosol volume distribution was observed to decrease as well. The prevailing winds changed from weak northerly winds to strong southwesterly wind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large particles increa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EX>$PM_{10}$</TEX> concentration and aerosol volume distribution of large particles showed a high positive value of over 0.9. The results from the trajectory model show that the Asian dust originated in the Gobi desert and the Nei Mongol plateau. In Case 2 (25 April 2009), when the <TEX>$PM_{10}$</TEX>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erosol volume concentration of small (<TEX>$0.3-0.5{\mu}m$</TEX>) particles decreased, but the concentration of large (<TEX>$0.5-10.0{\mu}m$</TEX>) particles increased. The opposite was observed when the <TEX>$PM_{10}$</TEX> concentration decreased. The prevailing winds changed from northeasterly winds to southwesterly and northeasterly win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EX>$PM_{10}$</TEX> concentration and aerosol volume distribution of large particles (<TEX>$1.0-10.0{\mu}m$</TEX>) showed a high positive value of about 0.9. The results from the trajectory model show that the Asian dust originated in Manchuria and the eastern coast of China.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