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자본 심화, 인적자본 증가, 그리고 총요소생산성 향상으로 분해하였다. 특히 인적자본 증가는 교육수준의 확대에 따른 노동 구성의 변화와 교육비 지출 증가에 따른 교육의 질적 향상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2001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인적자본은 연평균 1.07% 증가하였으며 이 중 0.46%는 노동구성의 변화, 0.61%는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인적자본의 증가는 동기간 중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30%를 설명한다. 2001년 이후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하락 추세를 보였는데 이는 자본 심화의 축소와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하락에 주로 기인하며 동 기간 중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 인적자본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English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human capital in explaining labor productivity growth in Korea between 2001 and 2018. To this aim, a Ben-Porath type human capital production function is estimated where human capital accumulates through both time spent in school and spending on educational goods. The estimation result shows that human capital in Korea increased by 1.07% per year over the sample period, 0.61%p of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increased educational expenditures. This human capital growth explains about 30% of the labor productivity growth. The result also implies that the downward trend in Korea’s labor productivity growth since 2001 is mainly due to a decline in both capital deepening and TFP growth rather than a stagnation in human capital growth.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