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연구는 서울 도시공간변화를 원조국과 피 원조국의 생산적 갈등공간으로 읽는다. 1960년대 남한 도시를 경제적·사회적 문제로써 접근하면서 도시 하부시설을 짓는 토목건설 방식과 도시 조사를 기반으로 다양한 주체들의 관계로 담론이 교차되며 동원되는 방식이 전환기적 상황 속에 공존했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는 아시아재단 지원으로 건설부 산하에 만든 도시 계획팀, HURPI의 활동 중 미국 도시계획가 Oswald Nagler가 활동했던 1965년에서 1967년까지 기간에 초점을 맞추었다.<BR> 본 연구는 스탠퍼드 대학교 후버연구소 문서관 소장 자료인 아시아재단의 서울 도시계획에 대한 일차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세 시기를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젊은 건축가 팀을 구성하여 도시기반 공공시설 조사와 최소주거단위설계를 교육하는 ‘도시 설계반’ 시기(UDT, Urban Design Team, 1965.6~1965.12), 건설부 뿐 아니라 도시지자체와 연계하여 후보지를 선정하여 시범도시계획 지침 및 보고서에 집중되는 ‘도시 및 지역계획연구실’(URPI, Urban &Regional Planning Institute, 1965.12~1966.12)시기 그리고 다른 원조기구와 연합하여 장기융자 상품인 아파트공급계획을 고안하는 ‘주택·도시 및 지역계획연구실(HURPI, Housing,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nstitute, 1966.12~1967.5)’ 시기로 분류된다.<BR> 그 결과 ‘슬럼을 일소하고 저층아파트를 짓는’ 고밀도 도시재개발 방식은 한국도시주거문제에 대한 실리적인 해결책으로 여겨졌다고 판단된다. 미국 원조조직이 피 원조국 도시 빈민들의 주택 재건을 목표로 자금을 지원하는 도시 재개발 프로그램이면서 미국 건축연합단체들은 이러한 국제 원조 프로젝트를 신생학문인 도시설계 수법을 저개발국가에 실험하는 기회가 되었다.<BR> 한국 정부 관료들도 이러한 도시 재개발 방식을 도시계획수법으로 이해하였으며 서울시내 뿐 아니라 다른 주요도시를 통해 주거유형을 확산하고 적용하고자 했다. 그러나 재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주거를 공급할 대상과 주거 규모에 대한 문제는 한국 관료와 원조조직 간의 분쟁지점이었다. 이미 한국정부는 원조 주택공급방식이었던 저소득층을 위한 자조 · 자가 소유 주택 모델의 유효성을 의심하기 시작되었다. 국공유지 대지화로 새로운 도시재개발 방식을 결합하면서도 최소 주거공급방식을 유지하려는 의견에 대한 반대였다. 앞으로 추후 연구를 통해 더 밝혀낼 부분이지만 기존 저소득층 거주민을 포함한 아파트를 계획하면서도 주택사용자로서 중산층을 의식하기 시작한 한국정부나 서울시의 입장이 원조프로그램과 다소 상충되기 시작한 지점이라고 생각된다.<BR> 이러한 일차적인 연구가 집적될 수 있다면 냉전체제아래 다른 아시아 수도들이 겪었던 도시계획원조에 따른 공간변화를 서울과 비교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기초적 기반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