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옥호정과 석파정을 대상으로 두 정원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조영 배경과 공간구성, 정원구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옥호정과 석파정은 조선 후기 권력가의 정원으로 정치적 기반 및 부의 축적을 통해 당대의 고급 기술과 자본이 투여되어 창출된 정원문화를 현실화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 상위계층의 정원문화가 투영된 각각의 정원이 아니라 옥호정이 석파정의 조영에 관련 있었음을 조영자 간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짐작할 수 있다. 둘째, 옥호정과 석파정의 공간구성은 생활공간을 중심으로 각각의 작은 정원공간이 정자 단위로 분화된 공간 구성으로 분절된 집산적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정원공간은 정자의 경영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경관에 대한 주제를 부여하였으며, 식재 및 단의 처리로 경계를 설정하고 계절별 경관의 다양화를 통해 단위 공간 내 다양한 원예 요소를 도입하는 등 각 공간에 장소성의 부여가 시도되었다. 셋째, 옥호정의 공간구성을 도식화하고 이를 석파정과 비교분석한 결과, 옥호정의 조영특성 대부분이 석파정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석파정의 정원이 옥호정의 공간구성기법을 그대로 수용하거나 조성 과정에서 변용되는 등 정원의 구성기법이 반영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넷째, 조선 후기 화훼에 관한 취미는 단순한 애호의 차원을 넘어 벽의 단계로까지 접어든 경우가 적지 않다. 옥호정과 석파정에서는 당시 진귀하게 여겨지는 기화요초 및 수반, 석상, 괴석, 분재, 석가산, 등나무 시렁 등 다양한 정원소재들이 정원구성요소로서 각 공간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ison of spatial composition that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Construct background and space structure in both of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is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of the nobles gardens in late Joseon dynasty. They had the advanced techniques of contemporary based on their political power and wealth, and therefore could built garden and enjoy the garden culture of the upper layer. Furthermore, composition of the Okhojeong garden can be assumed that it is related to construction of the Seokpajeong garden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ers. Secondly, Space structure of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is divided into pavilion unit of small gardens with living space as the center. Construction pavilion in each garden space imbues certain landscape theme. In addition, authorization of characteristics of a place in each area is attempted through boundary establishment and selective garden culture of varied seasonal landscape. Thirdly, In Seokpajeong garden, most of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Okhojeong garden are appeared. This indicates that Seokpajeong garden was affected by space-configuration-technique of Okhojeong garden such as acceptation or modification recreation. Fourth, In many cases, fanciers regarding floriculture are expanded to enthusiasts in late Joseon dynasty. In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herbaceous ornamental is considered to be precious and garden materials such as water tray, stone couch, oddly shaped stone, potted plant, artificial hill, wisteria trellis are diversified at the time.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