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해상안전을 위한 국제적 기술 개발 및 표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e-Navigation을 지향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차세대 해상교통관제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국내 환경에 맞는 차세대 VTS (Vessel Traffic Service)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국내 VTS 센터의 관제사로부터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이를 시스템 개발에 적용할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차세대 VTS의 요구사항을 정의하기 위해 15개 국내 해상교통 관제센터로부터 요구 사항을 수렴하고 항행지원 위주의 결과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항행지원 요구 사항 분석을 통해 새로운 항행지원 서비스로서 기존 VTS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았던 차세대 VTS용 ASM(Application Specific Messages) 서비스를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여 AIS 실제 장비와 연동 및 시뮬레이션 단말시험을 통해 그 가능성과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Recently, researches of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for maritime safety are proceeding internationally. In particular, some technologies and strategies for e-Navig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VTS (Vessel Traffic Service) has been raised in Korea. In order to construct user oriented VTS system for domestic environment, VTS operators are asked for their requirements related to developing VTS and the opinions should be reflected in the VTS. So in this paper, we collect the requirements from fifteen VTS centers in the country and we also analyze them. Furthermore, we propose an ASM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 service, which was not supported by current VTS, and we verify the proposed ASM through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system and simulation terminal for maritime safe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