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텔레비전 금연 광고를 내용분석하여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금연 광고의 메시지 구성에 있어서 모델이 되는 이론들에서 제시하는 요소를 종합하고 이러한 요소가 실제 한국과 미국의 금연광고에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특히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인 차이에 따른 광고 메시지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을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의 금연광고와 같은 기간의 미국 금연광고를 샘플링하여 총 71개의 TV광고를 건강증진재단의 자료를 통해서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연광고는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이론인 건강신념모델, 합리적행동이론, 사회인지이론등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시청자들에게 흡연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만들고 흡연을 하지 않게 하는 행동적인 목적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금연광고는 사회적 규범의 메시지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흡연에 대한 태도 메시지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는 가장 적게 사용한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금연광고에서 사용된 정서는 국가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양국 모두 공포와 유머가 제일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슬픔이나 단순정보전달, 분노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었다. 청소년층만을 대상으로 광고가 제작된 경우는 양국 모두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금연광고에서 자주 사용된 메시지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을 발견함으로써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요소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금연광고의 학문적 이해에 기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Korean and the U.S.A..'s television anti-smoking advertisements that were coined to discourage adults and teens smoking. A content analysis of 71 television advertisements listed in the "Smoking Guidance Program" operated by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This study evaluated to detect whether the advertising content reflected core health communication theories such as health belief model,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social cognitive theory used in the designing of anti-smoking ad message to change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smoking unfavorably.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anti-smoking ads mostly relied on social norm messages, followed by smoking attitude. The message of modeling and self-efficacy was least used; while, the U.S.A. ads focused more on modeling and self efficacy. This difference comes from the cultural difference. Namely, Korea focused more on collectivism rather than individualism. The anti-smoking ads of Korea and the U.S.A. most frequently adopted horror and humor rather than sadness, no appeal, and angry. The ads targeted more on adults rather than teens. The research identifies the types of advertisements that are most likely to utilized and underutilize in the Korea and U.S.A. anti-smoking ads and contribute to further understandings of anti-smoking ads theoretically.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