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우지가 5% 첨가되어 있는 일반적인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 돈육(C), 우지 함량 중 2%를 들깨유로 대체 급여한 돈육(T1), 들깨유 2%에 비타민 E를 250ppm 첨가한 돈육(T2), 오징어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3), 오징어유 2%에 비타민 E를 첨가 급여한 돈육(T4), CLA를 2% 대체 급여한 돈육(T5)의 육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오일간에는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에 비하여 SFA와 EFA는 높은 반면 UFA, MUFA, UFA/SFA MUFA/SFA는 낮았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오일간에는 T3가 다른 세 처리구들 (C, T1, T5)보다 높았으며, 동일한 오일에서는 비타민 첨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 TBARS의 경우 오일간에는 C와 T1에 비하여 T3와 T5가 높았고, VBN은 C<T1<T3<T5 순이었으며, 총세균수, 유산균수 및 대장균군의 경우 오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신선육의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C와 T1에 비하여 T3와 T5가 낮게 나타났으며, 가열육의 관능평가에서 경도는 T3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5)에 비하여 낮아 전체적인 기호도는 높았다. TBARS, VBN, 총세균수, 유산균수, 대장균군, 신선육 및 가열육의 관능평가에서 동일한 오일에서 비타민 첨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요약해 볼 때 우지 대신 들깨유와 오징어유를 첨가 급여시에 육질에는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타민 첨가급여로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되는 등 육질개선에는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ubjective pork quality was determined on the six groups of the following treatments. Meat samples were obtained from pigs which had been fed with finishing pig diets containing 5% beef tallow(C), 3% beef tallow and 2% perillar seed oil(T1), 250ppm vitamin E(<TEX>$\alpha$</TEX>-tocopheryl acetate) in T1(T2), 3% beef tallow and 2% squid viscera oil(T3), 250ppm vitamin E in T3(T4), 3% beef tallow and 2% CLA(Conjugated linoleic acid, T5).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SFA(Saturated fatty acid) and EFA(Essential fatty acid) were higher in T5 than in the rest of three treatments such as C, T1, T3 groups, while UFA(Unsaturated fatty acid), MUFA(Monounsaturated fatty acid), UFA/SFA, MUFA/SFA were low. The total content of amino acid in the T3 were higher those for the rest of rest of C, T1, T5 the content for vitamin added treatment(T2, T4) groups higher than non treated one. T3 and T5 showed higher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values than the C and T1 groups VBN(Volatile basic nitrogen) value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T5>T3>T1>C.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plate counts,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and number of E. coli. In sensory property, the C and T1 showed a higher acceptance than the T3 and T5. In cooked meats, the T3 showed a lower hardness than that of control(C), T1 and, with a higher acceptance. In TBARS, VBN, total counts, lactic counts, and E. coli counts, sensory test of cooked meat and raw me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itamin supplement groups within each oil treatme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