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포도 현탁배양계를 이용하여 안토시아닌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phytochrome 신호 전달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세포의 생중량과 세포수의 생장은 배양 시 광의 유무 및 단색광의 종류와 관계없이 배양 4일째부터 8일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8일 이후부터 정상기에 들어서서 최대 생장을 보였다. 그러나 안토시아닌 색소 축적은 청색광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적색광에서도 높았으나 원적색광하에서는 암소같이 색소생성이 억제되었다. 배양시기에 따른 색소생성에 미치는 광 조사의 효과는 대수증가기인 배양4일째에 조사한 단색광간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정상기인 배양 7일째 조사한 단색광의 효과는 그 종류에 따라 색소 축적 패턴에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배양 7일째가 효과적이었다. Phytochrome의 광가역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암배양 7일째세포에 다양한 조건의 단색광 (B/R, B/FR, B/R/FR)을 가역적으로 처리했을 경우, 청색광 단독 처리한 구와 비슷한 양의 색소 축적양상을 보였으며, B/R/R 조건의 단색광이 가역적으로 처리된 세포주에서 가장 많은 색소 축적을 보였다. 그러나 배양 7일째 R/FR 광가역 처리시에는 적색광 단독 처리에 비해 색소 축적이 억제되었으나, R/FR/R 가역처리시에는 적색광의 색소 축적양과 동일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안토시아닌 생합성의 주요효소인 PAL과 CHS의 발현분석에서 PAL의 발현은 7일째 청색광이 처리된 세포주에서 조금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적색광과 근적외광 처리구에서는 거의 반응이 없었다. CHS의 발현은 단색광 처리에서 높은 변화를 보였으며, 광을 처리한 7일째 높은 발현을 보이다 12일 이후 다시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또한 적색광과 원적색광이 가역적으로 처리된 세포주에서 CHS 발현양도 가역적으로 증가하였다. PHYA와 PHYB는 포도세포에서 단일유전자로 존재하였으며, 단색광 처리에 따라 색소축적이 이루어질 때 이들 이들 두 유전자의 발현도 증가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at phytochrome regulates anthocyanin bio-synthesis during cell suspension culture system of grape or not. In suspension culture of grape, maximum accumulation of anthocyanin was observed at the stationary phase under continuous white light condition. From mono-chromatic light interruption for 24h at the 4th or 7th day on the suspension cultured cells, the anthocyanin accumulation was highly enhanced at the light interruption at 7th day than 4th day under all monochromatic light treatment. However, the cell growth patterns were not affected by any light treatment. In the darkness, the anthocyanin synthesis was very low but remarkably increased by blue light or red light irradiation. However, the increase of anthocyanin accumulation by blue or red light was suppressed by far-red light in the suspension cells of grape. This suppression by far-red light on the anthocyanin synthesis also observed on the cells treated red or far-red light alternatively. These results implied that phytochrome regulation system may be involved in the anthocyanin biosynthesis of the suspension grape cells. By RNA expression analysis, chalcone synthase (CHS) gene was expressed highly by blue and red light but low by far-red light. The synergistic increase of CHS gene expression was also observed at the treatment of blue light followed by red for 24h. This result may explain the increase of anthocyanin accumulation in B/R treatment. Although the expression of phytochrome gene (PHYA or PHYB) was not highly increased by all light treatment (blue, red, and far-red light) the expression of both PHYA gene and PHYB gene was increased a little in cells treated red or far-red light. In grape suspension cells, the red light enhanced the anthocyanin synthesis, whereas the far-red light was suppressed. Although it was not confirmed whether or not phytochrome gene is activated in anthocyanin accumulating grape cells, we believed that anthocyanin biosynthesis in grape cells may be regulated under phytochrome signal transduction syste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