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Korean Abstract: 소비자금융 채널의 중심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있는 현 상황을 고려할 때, 인터넷뱅킹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특성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원이 2017년 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여, 인터넷뱅킹 이용 경험 유무와 인터넷뱅킹 이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첫째, 인터넷뱅킹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의 특성은 고용상태(직업 있음), 연령(-), 소득수준(+), 인터넷뱅킹에 대한 자기효능감(+), 지각된 위험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둘째, PC 기반의 인터넷뱅킹 경험유무과 스마트폰 기반의 인터넷뱅킹 경험유무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해 보았을 때, PC 기반의 인터넷뱅킹 경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남성), 연령(-), 소득수준(+), 인터넷뱅킹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었으며, 스마트폰 기반의 인터넷뱅킹 경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터넷뱅킹에 대한 자기효능감(+)이었다. 셋째, PC 기반의 인터넷뱅킹 이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스마트폰 기반의 인터넷뱅킹 이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각각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동일하였으며, 직업유무(+), 연령(-)과 소득수준(+), 인터넷뱅킹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PC 및 스마트폰 기반의 인터넷뱅킹 이용 수준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향후 인터넷뱅킹의 세대 및 소득계층 간의 활용성 격차가 현재의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킬 가능성에 대한 논의와 그에 대한 대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English Abstract: Although the channel of consumer finance has been moving from offline to online since the early 2000s, a few consumers are still unfamiliar with Internet banking service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Korean consumers’ Internet banking adoption and use behavior,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PC banking and smartphone banking.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during November 2017, and the sample frame included consumers with various age groups, ranging from their 20s to 80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consumers who were employed, aged in their 20s to 40s, earned monthly household income over 2,500 thousand won, high in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low in the level of perceived risk were more likely to use Internet banking services. Second, the consumers’ level of self-efficacy was a common factor for enhancing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a PC-based Internet banking service, as well as the smartphone-based Internet banking service. Third, consumers who were unemployed, aged in their 50s to 60s, and low in the level of self-efficacy were less likely to use Internet banking services frequently. Fourth, consumers those who were unemployed, aged in their 50s to 60s, and low in the level of self-efficacy,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number of consumer- finance related mobile applications in their smartphon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potential problems can occur in the future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levels of Internet banking use behavior, as well as its adoption.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high-use group and low-use group, provisions of the consumer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targeting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re required for relatively vulnerable consumers in terms of the generation and income level.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