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아라키돈산(AA)은 포유동물에 식품을 통해 섭취되는 필수지방산으로써 동물조직에서 추출되어 이용되어 왔다. 경제적으로 AA를 생산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AA를 다량으로 생산하는 모르티에렐라 종으로 확인된 M-12균주를 선발하였다. 균체로부터 지방질과 AA를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전처리 공정, 공정 순서, 추출 용매, 추출 방식, 입자 크기 등을 달리하여 추출 효율을 분석하였다. M-12를 GY배지로 <TEX>$25^{\circ}C$</TEX>에서 7일 배양하여 동결건조한 시료를 사용하였을 때 지질방 중 47% 이상의 AA를 함유하고 있었다. 지방질 추출 효율은 균체의 젖은 상태와 건조 상태로 나눈 전처리 공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클로로폼과 메탄올(2:1) 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추출율을 보였으며 헥세인이나 아이소헥세인도 우수한 추출 효율을 나타내었다. 균체를 분쇄하기 위하여 blending, ultrasonication, Ultra-turrex homogenization 등 기계적 분쇄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추출 효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균체 입자가 고울수록 유지의 추출 효율은 높게 나타났고 추출 시간보다는 추출 시 입자 크기가 추출 효율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출된 유지를 분획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neutral lipids 내에 AA의 함량이 65.3-68.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n oleaginous fungus was isolated from soil and identified as Mortierella sp. (M-12) for producing arachidonic acid (AA). Cell disruption methods, extraction methods, and particle sizes of freeze-dried biomass were tested to achieve maximum extraction of total lipids and AA. M-12 grown in glucose yeast media at <TEX>$25^{\circ}C$</TEX> for 7 days contained 35.5% total lipid, and 47% of the total lipid was AA. Lipid extraction yield from wet biomass was shown to be similar to that in a dry state. Maximum lipid extraction was achieved using a mixture of chloroform and methanol (2:1) as an extraction solvent. Different mechanical cell disruption methods did not affect lipid extraction yields.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of the biomass, the better the lipid extraction yield was observed. Particle size of biomass was shown to more strongly affect lipid extraction than extraction time. The highest AA content was observed in the class of neutral lipid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