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최근 현장중심의 실무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혁신적으로 추진하고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제도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한 IPP 전담교수의 역할에 대해 해외 선진국 운영사례 분석 및 실제 IPP 제도 2년간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제안한다. IPP 전담교수의 역할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IPP 관리자로서의 역할이며, 두 번째는 학생들에 대한 진로지도 상담자의 역할이며, 세 번째는 IPP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역할이다. IPP 제도 시행 초기에는 주로 IPP 관리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IPP 제도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운영되면 IPP 관리자로서의 역할은 점차 줄어들고 진로지도 상담자로서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다. IPP 제도가 학점을 부여하는 교육 프로그램인 만큼 IPP 전담교수는 경험학습 설계, 교육목표 달성도 평가 등 교육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roles of 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professor that are necessary for efficient and systematic operation and management of IPP system, which has been implemented by KOREATECH recently under the goal of nurturing industry-oriented talents with practical skills, based on the analysis of actual operational practices of advanced overseas universities and the IPP experiences for 2 years. The roles of IPP professor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IPP manager; student career counselor; educator of IPP educational program. During the initial stage of IPP system, the role of IPP manager is most significant. However, as the system is systematically managed and operated, the role of IPP manager gradually decreases, and the role of career counselor becomes more important. Since IPP system i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gives credits, IPP professor should also perform the role of educator, including designing experiential learn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on educational goal accomplishme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