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3년부터 적용된 고등학교 영어I 교과서에 실린 삽화의 문화권 표현의 특징, 내용과의 관련성 및 외형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함으로 삽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보다 더 좋은 교과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삽화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들을 분류하여 4가지의 분석 기준을 고안하였고, 그 내용은 삽화에 나타난 문화권 표현, 삽화의 표현유형, 삽화의 표현기법, 삽화의 언어의 기능별 제시로 구분하였다. 설문 내용은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삽화와 교과내용과의 관련성, 삽화의 배치와 구성, 학습자의 학습 흥미도와 인지적 측면, 교수 및 학습 용이성, 언어의 기능과의 연계성으로 제작하였고, 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삽화에의 친숙성, 흥미도, 학습 용이성, 선호하는 표현기법과 표현재료로 제작하였다.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교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수 및 학습 용이성을 높이고, 학생들이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삽화개발이 요구되었다. This study delineates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illustrations in high school English I textbook.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issues related to producing better English textbooks. The methods include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urveys of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about them. This study classified common features in the illustrations to devise four analysis criteria: cultural aspects, expression styles, expression techniques, and linguistic functions of the illustrations. The questionnaire was mad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e questions in the survey of teachers were about the relevance to the contents, the layout and formation, learners' interest, cognitive aspects, easi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connectivity with language functions. In the survey of students, familiarity, interest level, learnability, favored expression technique and expression material were considered. The result of the surveys showed that the teachability and learnability are key factors in developing illustrations for English textbooks, and they should look familiar to the studen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