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흉부 CT 검사 시 늑골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3차원 체적 재구성 기법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상에서 주로 이용 하는 재구성기법인 다평면재구성(MPR), 3차원 체적 영상 기법(VRT)을 적용하여 영상데이터를 각 각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재구성 영상의 분석 및 평가결과 늑골 골절 환자의 흉부 CT 검사 시 조영 전 원 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체적영상으로 재구성 하는 것이 보다 더 인공 음영을 최소화 시켰으며, 늑골 골절 판단 및 3차원 체적 영상 재구성 소요시간이 단축 됨을 알 수 있었다. We want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ve images using computed tomography for rib fracture patients. The reconstruction used in clinical multi planar reformation(MPR), volume rendering technique(VRT), and image data using quantitative methods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compared. Much more, the artifact shadow was minimized to reconstruct with 3D volumetric image by using an law data in the analysis of the reconstructive image and chest CT scan of the evaluation result fractures of the thoracic patient. And we could know that the fractures of the thoracic determination and three dimension volume image reconstruction time were reduc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