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건설공사에 이슈가 되고 있는 건축정보모델링(BIM)은 건설경기 둔화와 수주물량 감소에 따라 위기위식이 팽배한 건설산업의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이미 건축분야는 국내외적으로 BIM을 도입하기 위해 관련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토목공사의 경우 건축공사와 달리 작업체계가 비반복적, 수평적, 비정형적이며, 프로젝트 수행 범위가 넓어 발생하는 정보의 양도 방대하여 건설사나 설계사에서는 BIM 구축을 위한 초기 투자비용의 부담과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의문과 부담을 갖고 있다. 이에, 국내 토목분야에 BIM을 적용하기 위해 토목설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BIM 기술수준을 파악하고 과거대비 현재 토목분야의 BIM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을 통해 토목분야 BIM 활성화 저해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출된 활성화 방안은 가이드 개발, 제도 개발, 납품성과 검증, 국제표준 상정 등 4가지 분야로 구성된다. 연구결과는 토목분야 BIM 적용을 위한 표준과 납품 성과품의 검수 및 검증체계 개발 연구과제의 연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which has been an issue in construction work, has been focused on as a new alternative of building industry for way out of crisis by slowing down and decreasing of orders in construction industry. Research for introducing BIM to the architectural field is already proceeding actively at home and abroad. However, civil engineering is so nonrecurring, horizontal, and different from regular construction works that i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occurs because of wide range of project, which causes construction firms and design engineers to have some questions whether their initial investment cost would work or not and feel uncomfortable with the cost. In this study, technology level in engineering firms were surveyed for adapting BIM to domestic civil engineering. Development direction of BIM standard information model was drawn through awareness change analysis of BIM in civil engineering, as well. Deduced development direction is composed of guide development, system development, deliverable check and international standard proposal. The outcome will be employed as preliminary data for the study on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BIM standard and deliverable check system in civil engineering.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