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차먼지응애의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생물적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차먼지응애는 상위 엽을 가해하다가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먹이조건이 나빠지기 때문에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 이동하였다. 오이이리응애와 차먼지응애의 밀도변동은 먹이충인 차먼지응애의 이동에 따라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서식지가 같아졌다. 차먼지응애에 대해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포식량은 15, 20, 25 및 <TEX>$30^{\circ}C$</TEX>에서 각각 8.8, 15.2, 27.0 및 30.3마리를 포식하였다. <TEX>$25^{\circ}C$</TEX> 조건하에서 부화유충은 0.5마리, 전약충은 1.6마리, 후약충은 5.2마리, 수컷 성충은 3.8마리, 암컷 성충은 27.0마리의 차먼지응애 성충을 포식하였다. 차먼지응애 성충에 대한 오이이리응애 성충의 기능반응은 차먼지응애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그의 포식율은 감소하여 Holling의 기능반응곡선 제II형과 일치하였다.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와 먹이충인 차먼지응애 접종비율이 고추에서 1:40일 경우 밀도억제효과가 98% 이상으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biological control effects of the natural enemy, Amblyseius cucumeris, against Polyphagotarsonemus latus. The broad mite moved to a new habitat after the carrying capacity of the preferred habitat on the upper leaf has been reached. Population dynamics between predator, Amblyseius cucumeris, and prey, P. latus, were quite well synchronized since the predator followed the movement of the prey. In predation test by Amblyseius cucumeris on P. latus, A. cucumeris fed on 8.8, 15.2, 27.0 and 30.3 individuals/day under the temperatures of 15, 20, 25, and <TEX>$30^{\circ}C$</TEX>, respectively. The A. cucumeris larva, protonymph, deutonymph, adult male, and adult female fed on 0.5, 1.6, 5.2, 3.8, and 27 individuals of adult P. latus per day, respectively, under <TEX>$25^{\circ}C$</TEX> condition. The functional response curve of adult P. latus to the densities of A. cucumeris showed Holling's Type II curve. The consumption of prey by A. cucumeris increased with the prey density increase, but the consumption rate decreased. The critical ratio of predator vs. prey effectively to suppress (98% over) the population of P. latus by releasing A. cucumeris was 1:40 on red pepper.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