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토대로서 '뉴스 리터러시' 개념을 제안하고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뉴스리터러시를 뉴스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으로 개념적으로 정의를 하고 어떻게 이 변수가 뉴스 소비자의 뉴스 미디어 소비 형태, 뉴스 콘텐츠에 대한 지식체계, 그리고 뉴스처리 관여도를 포함한 관련 결정요인들과 관련되는지 온라인 서베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검색/이해' 뉴스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은 뉴스 소비자의 뉴스 콘텐츠에 대한 지식 체계에 의해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고 뉴스 처리 관여도의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전달/표현' 뉴스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은 소비자의 뉴스 콘텐츠에 대한 지식 체계와 전통적인 뉴스미디어 사용에 의해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뉴스 교육의 구성 요소가 뉴스 리터러시에 어떤 형태로 연관되고 이렇게 확립된 뉴스 리터러시가 실질적으로 뉴스 소비에 어떤 방식으로 연관 되는지를 하나의 틀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ntroduce 'news literac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evaluate news education in digital age. Specifically, this study conceptually defined news literacy as news literacy self-efficacy and empirically tested how this variable is associated with other related determinants including users' news media consumption pattern, news knowledge structure on news content production, and involvement with news. The findings showed that users' 'searching/understanding' news literacy self-efficacy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ir knowledge structure and involvement with news, whereas users' 'sharing/expressing' news literacy self-efficacy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ir knowledge structure. The findings also demonstrated that users' 'searching/understanding' news literacy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consumption of new types of news media, whereas users' 'sharing/expressing' news literacy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consumption of traditional news media. As a result, this study practically suggests how news literacy is associated with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news consumption and news educ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