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 인식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코로나 19로 인해 변화된 사회에 따른 교육 정책 수립, 교육 대학의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수립 근거 등의 다방면에 종합적이며 합리적인 대안 및 정책 입안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는 온라인 수업 시 기존 자료를 이용한 콘텐츠 활용 중심 온라인 수업을 주로 사용하며 선호하였다.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에 따른 준비 영역의 인식 설문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에 따른 경험 영역의 인식 설문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학습 준비 및 실제 수업 시간은 온라인 수업과 대면 수업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 만족도 영역의 인식 설문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는 문항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인식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과 추후 학기에 계속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나,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 속 학생의 학습 및 참여, 평가 방법, 학습 성과에는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연령에 따른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의 차이는 준비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평균 점수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코로나 19로 인한 세계적 전염병 유행 상황에서 초등학교 현장의 수업 방법에 대한 설정 및 교사 대상의 연수 프로그램 내용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