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체중조절행동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청소년의 체중조절을 위한 교육과 상담의 기초자료를 생성하기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자료는 2011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지난 30일 동안 체중조절을 시도한 적이 있는 중고등학생 37,472명이었다. 연구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건강한 체중조절행동(운동, 적절한 식이), 부적절한 체중조절행동(단식, 원푸드 다이어트)과 극단적인 체중조절행동(설사약, 처방받지 않은 약, 식사 후 구토)을 더 많이 하였다. 남녀학생 모두에서 비만할수록 건강한 체중조절행동과 부적절한 체중조절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극단적 체중조절행동 중 의사가 처방하지 않은 약 복용은 남학생의 경우 저체중군에서 여학생의 경우 비만군에서 높았다. 건강한 체중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 학년, 가족풍요도, 어머니 교육수준, 주관적 체형, 비만도였다. 부적절한 체중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 학년, 지역, 아버지 교육 수준, 주관적 체형이었고, 극단적 체중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 학년, 주관적 체형, 비만도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에게 부적절한 체중조절해동의 폐해에 대한 교육과 지속적으로 적절한 식이와 운동을 격려하는 예방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and correlates of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Korea. We analyzed data on 37,472 adolescents aged 12-18 years from the 2011 7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 the prevalence rate of healthy, unhealthy and extreme weight control behavio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Second, in both genders, healthy and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were more common among obese adolescents than non-obese adolescents. But, use of diet pills were not prescription by doctor was more common in underweight boys and obese girls than others. Third, gender, school, family affluence scale, mother's education level, body shape perception(BSP), weight status predicted prevalence rate of 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Gender, school, region, father's education level, BSP predicted prevalence rate of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Gender, school, BSP, weight status predicted prevalence rate of extreme weight control behavior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s to design appropriate prevention program that can induce 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