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 1개월, 2개월, 3개월 투여 시 혈압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국 홍삼군 및 중국 홍삼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압 감소가 나타났다.(P<0.05) 각 군별로 보면 한국 홍삼군의 경우 0-1개월, 1-2개월 사이에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중국 홍삼 투여군의 경우 0-1개월에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2. 1개월 투여 그룹의 경우, 혈관벽 두께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중국 홍삼군의 경우 다른 두 군에 비해 혈관벽두께 감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개월 투여 그룹의 경우, 혈관벽 두께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중국 홍삼군의 경우 다른 두 군에 비해 혈관벽 두께 증가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개월 투여 그룹의 경우, 혈관벽 두께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중국 홍삼군의 경우 한국 홍삼군에 비해 혈관벽 두께의 증가가 유의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서는 혈관벽 두께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한국 홍삼군의 경우 두 군에 비해 혈관벽 두께의 감소가 유의하였다.(P<0.05) 3. 대동맥 조직 병리 검사 변화상 한국 홍삼군은 모두 대동맥 벽이 잘 유지되어 있고 단층 혈관 내피 세포가 잘 유지되어 있으나, 중국 홍삼의 경우 1개월, 2개월, 3개월 투여시 세포핵의 비후가 비교적 뚜렷하게 관찰되며 세포핵의 방향성(Orientation)과 극성(Polarity)의 소실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고 평활근 섬유가 갈라지거나 찢어진(Split or tearing)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홍삼 투여 시 혈압 강하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한국 홍삼이 중국 홍삼에 비해 혈압 하강 효과를 좀 더 지속시킬 가능성 및 대동맥 조직 병리 소견 상 혈관 보호 효과에 대한 추론을 할 수 있었다. Introduction : Korean red ginseng has been shown to have an preventive effect on atheroma formation and enhancing effect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endothelial cell inducing vasodilatat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showing th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blood pressure and vascular(endothelial) pathologic changes together. We designed this study to show changes of blood pressure and vascular pathologic findings with Korean red ginseng administration compared with Chinese red ginseng and control for 3 months in rats. Materials and methods : We studied the in vitro hypotensive effect and effect on vascular pathologic changes of Korean red ginseng compared with Chinese red ginseng and control.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Korean red ginseng, Chinese red ginseng and control) and evaluated by blood pressure and aortic vascular(endothelial) pathologic changes monthly during 3-month administration. All results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OVA and post-hoc. Results :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was noted on Korean red ginseng and Chinese red ginseng compared to control. Especially, in Korean red ginseng group, hypotensive effect was showed in first and second month, but, in Chinese red ginseng group, it was just noted in first month. In case of vascular(aortic endothelial) pathologic finding, endothelial wall thickening and elastic fiber tearing were noted in Chinese red ginseng group compared with Korean red ginseng group and contro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Discus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Korean red ginseng could have more hypotensive effect and maintenance rather than Chinese red ginseng. And the difference of hypotensive effect between Korean red ginseng and Chinese red ginseng might has some association with difference of vascular pathologic findings in each group. However, further evaluation and research of other mechanism will be needed to convince this hypothesi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