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확대와 저성장 지속에 따른 해외건설시장의 성장 정체에도 불구하고 국내기업은 높은 기술 및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견조한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건설시장에서 투자개발형사업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기업의 수주는 일반 도급형 사업에만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사업발굴, 금융조달, 시공 및 운영까지 종합적인 역량을 요구하는 투자개발형사업에 있어서 안정적인 재원조달과 수익성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재원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다자간개발은행에 대한 관심 제고는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그러나 다자간개발은행에 대한 국내기업의 전략적인 접근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정책도 효율성도 낮은 수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와 시급성을 바탕으로 국내기업의 다자간개발 은행에 대한 인식과 진출 실적을 분석하고 다자간개발은행의 투자시장 진출을 위한 민간 및 정부차원의 역량과 정책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자간개발은행 투자사업은 입찰의 공정성과 재원조달 안정성이 장점으로 평가되었으며 국내기업의 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시장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제공, 전담조직의 구성과 운영, 기업 간 과당경쟁 방지, 공적자금과의 연계성 확보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have maintained stable market share based on high technology and cost competitiveness although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has been stalled due to increasing global economy uncertainties. However,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have relied heavily on the general types of projects in Middle East and Asia although the portion of different types of projects such as Build-Transfer-Operate (BTO), Build-Transfer-Lease (BTL), and Public-Private-Partnership (PPP) has been increasing in the market. When delivering huge projects requiring contractors deal with activities from project planning to operation, securing finance sources and profitability is deemed critical. Therefore,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need more attentions on the construction market supported by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However,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have not utilized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market entry and also government supportive policies are not useful enough to help construction companies. This study aims both to analyze the contract structure of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for presenting critical factors that need to be prepared and to suggest various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support construction companies that have much interest in the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it is important that Korean government provide structural information system, make a specialized organization, prevent over-heating among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nd collaborate with Official Development Agency.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the fairness and financial stability of project have recognized main advantages of the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