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의 최근 피해 자료를 이용하여 수해지 특성분석과 이를 반영한 토지이용관리 방안제시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크게 네 가지로 첫째, 개괄적인 피해지의 공간적 분포 경향 분석, 둘째 공간자기상관성 분석, 셋째, 하천 이격거리분석, 넷째, 분석결과를 반영한 토지이용관리방안 제시로 설정하고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수해지에 대한 탐색적 공간자료분석(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ESDA)과 자기상관성(Local Indicator of Spatial Autocorrelation: LISA)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경지피해는 집중강우에 민감하며, 둘째, 건물피해의 경우는 서울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도 전역에 걸쳐 매우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셋째, 도로교량과 하천, 그리고 소하천 피해는 교외지역 비율이 높은 곳에서 보다 높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넷째, 경기도 주택침수의 경향은 하천변 저지대를 중심으로 발생하고 농경지 침수도 하천변 저지대 중심으로 발생하며 침수피해에 있어서 주택과 농경지는 서로 다른 공간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관리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해 피해지 분포특성의 토지이용관리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피해우려지역과 농경지피해 우려지역으로 구분 후, 경사도와 하천에서부터의 거리를 고려한 '하천변 토지이용 관리 우선지역'의 고려를 제안한다. 둘째, 경기 동부를 중심으로 북부와 남부 지역의 경우 도로교량, 하천, 소하천에 관리역량이 집중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사후대책이기는 하나 2009년 주택 및 농경지 각각의 피해군집 유역 및 행정동에 대한 재해대책 및 토지이용현황에 대한 검토를 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flooding resilient land use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storm damage areas in Gyeonggi-do. The employed methods are 1)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ESDA) to understand the spatial patterns of storm damage areas occurred from 2005 to 2009, 2)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LISA) to examine spatial autocorrelation existed in storm damage areas for the year of 2009. The results show that 1) crop land damage is very sensitive to heavy precipitation, 2) damaged buildings are found in all over the Gyeonggi areas, but relatively more damages are in the regions closed to the City of Seoul, 3) damaged roads-bridges, streams, and reaches are found in mostly rural areas, 4) building and crop land damage occurs mostly in lowlands with different spatial patterns. These findings imply that 1) it will be useful to consider the average distances and slopes of damaged building and crop lands from streams for the decision making of land use management strategy, 2) further management efforts are required in the north, east, and south regions of Gyeonggi areas to prevent roads-bridge, stream, and reach damages, 3) the present land use pattern needs to be carefully investigated by considering the damage clustered areas for the year of 2009 based on watershed and municipality boundar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