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태백산분지 캠브리아기 세송층의 퇴적상이 정밀 주상도 작업과 야외조사에 의해 분석되었다. 결과로 5개의 퇴적상이 세송층 내에서 인지되었으며 이들은 석회질 단괴를 포함한 셰일상, 망상형 와케스톤-팩스톤상, 엽리질 실트암상, 세립 및 중립질 사암상, 석회 잔자갈 역암상 등을 포함한다. 퇴적상 분석과 함께 수행된 수직적 상변화에 대한 연구는 세송층이 외대륙붕 및 내대륙붕 환경 하에서 상대적인 해수면의 하강에 의해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특히, 세송층 최상부에 10 m 두께의 세립 및 중립질 사암층의 천해성 퇴적양상은 동 시기인 로렌시아 대륙의 Steptoean Stage(Dunderburgia) 퇴적층 내에서 나타나는 퇴적상 변화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두 대륙 사이의 동 시기 퇴적층의 퇴적상에 관한 비교는 세송층의 퇴적이 캠브리아기 중기 후반에서 캠브리아기 후기 초반 동안에 있었던 전 지구적인 해수면의 하강의 영향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세송층 상부구간의 세립 및 중립질 천해성 사암층 내에는 시퀀스 층서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하나의 층서불연속면이 인지된다. 이러한 층서불연속면은 로렌시아 대륙에서 정의되었던 Sauk II-III 시퀀스 경계면에 대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태백산분지 내 캠브리아기 중기 및 후기 퇴적층(예; 세송층)들의 지역 간 대비에 있어서 새로운 층서적 사고의 틀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대륙 간 층서대비에 있어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Sedimentary facies of the Middle to Upper Cambrian Sesong Formation, Taebacksan Basin, are analyzed using detailed field mapping and stratigraphic section measuring. As a result, five sedimentary facies are recognized in the formation, which include lime nodule bearing shale facies, anastomosing wackestone-packstone facies, well-laminated siltstone facies, fine to medium sandstone facies and lime pebble conglomerate facies. Together with sedimentary facies analysis, study on vertical facies variation indicates that the Sesong Formation was deposited in an outer to inner shelf during relative sea-level fall. Especially, shallow marine aspects of the upper part of the Sesong Formation including 10-m-thick, fine to medium-grained sandstones appear to be very similar with the shallow marine strata accumulated during the Steptoean Stage (Dunderbergia) in Laurentia. These lithofacies comparisons of coeval strata between two continents suggest that sedimentation in the Sesong Formation reflects the influence of global sea-level fall occurred during the late Middle Cambrian to early Late Cambrian. As well, a stratigraphic discontinuity surface that may have sequence stratigraphic significance is recognized within the shallow marine sandstone beds of the uppermost Sesong Formation. This stratigraphic discontinuity surface may correspond to the Sauk II-III sequence boundary in Laurentia. Therefore, results delineated in this study will use a new stratigraphic paradigm for regional correlation of the Middle to Late Cambrian strata (e.g., the Sesong Formation) in the Taebacksan Basin, and will provide very useful information on intercontinental stratigraphic correlation in the futur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