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온라인 참고서가 구축현황과 참고서가 접근을 위한 접근점 및 온라인 참고정보원의 유형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서울.경기지역 소재41개 대학도서관을 조사대상으로 홈페이지의 직접 접속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41개 관 중 30개 관에 참고서가가 구축되어 있었으며, 참고정보원에 접근하기 위한 홈페이지상의 메뉴로는 "이용자서비스", "전자정보원", "참고정보원"의 순이었다. 제공되고 있는 참고정보원의 유형은 도서관별로 다양하였으며, "명부/명감", "사전", "통계", "백과사전"의 순으로 밝혀졌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온라인 참고서가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하여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의 설정 및 적용, 접근의 용이성, 주제별 접근방법, 참고정보원의 계속적인 갱신 및 추가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resent status of online reference shelf and analyze access point in the home page and types of online reference sources in the university library. Data were collected by accessing home pages of 41 university libraries in the region of Seoul and Kyonggi-Do. 30 libraries had prepared reference shelf out of 41 libraries, and "User Service", "Electronic Reference Sources", or "Reference & Information Sources" were mostly used as home page menu. Types of references sources varied among libraries, and "Directories", "Dictionaries", "Statistics" or "Encyclopedias" were mostly loaded types in the reference shelf. For the enhancement of reference services through reference shelf, establishing and applying standards for evaluation, ease of access, access by subject, and continuous updates and additions of reference sources were suggest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